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 과학과제연구 어떻게 하는거야…….?? 연구하라구?? #0“?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isleartisan.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isleartisan.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21학번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347회 및 좋아요 2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과학과제연구 어떻게 하는거야…….?? 연구하라구?? #0 –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과학과제연구 #연구주제 뭘로해
나 고등학생인데 연구를 하라니!
할 수 있다!! 내가 한 거 앞으로 보여줄게 참고하세용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과학중점 고등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일반고와 다른 과목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과제 연구입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싶은 주제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2/26/2021
View: 1316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 [과학탐구실험 주제 꿀팁 1편] 주제 …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과학중점 고등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
Source: sk.taphoamini.com
Date Published: 4/24/2022
View: 8754
Top 46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The 166 Top Answers
… topics such as: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생명과학 탐구 주제 추천, … 과학 과제연구 주제, 고등학교 과제연구 주제 추천, 과제연구 주제 …
Source: toplist.khunganhtreotuong.vn
Date Published: 3/24/2022
View: 5046
과제연구<교육활동<울산과학고등학교 - 울산광역시외국어교육원
2020학년도 과제연구(R&E, 자유탐구) 주제 현황 · 1. R&E: 창의재단 R&E: 35팀, 교육청 R&E: 2팀. 자유탐구: 73개 주제 · 2. R&E : 수학5, 물리9, 화학9, …
Source: school.use.go.kr
Date Published: 11/21/2021
View: 7524
과학중점학교 학생 과제연구 – 2021 과학교육 온라인 성과공유회
과학 분야의 탐구 수행 능력 함양 및 사회문화적 맥락에 맞는 창의적 문제 해결력 함양. (전시팀) 총 40팀. (고교)학생 과제연구 · (대학)학부생 연구 …
Source: k-sciedu.kr
Date Published: 6/23/2021
View: 7581
고등학교 융합과학 탐구 및 과학과제 연구 – KINX
① 주제는 어떻게 정하지? ② 주어진 연구 기간 내에서 실험을 마칠 수 있을까? ③ 학생이 탐구하고 싶은 생물을 직접 키워야 할까? 생물을 기르게 된다면 분양이나 …
Source: kocw-n.xcache.kinxcdn.com
Date Published: 8/29/2021
View: 5199
Top 25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136 Most Correct Answers
○ 왜 수학은 오직 네 가지 분야로 축약되는가? ○ 허준이 교수님은 조합론과 기하학을 … 탐구 주제 리스트 추천글: 【과학철학】 탐구 주제 리스트 종합 …
Source: toplist.giarevietnam.vn
Date Published: 12/25/2021
View: 533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과학과제연구 어떻게 하는거야…….?? 연구하라구?? #0.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 Author: 21학번
- Views: 조회수 3,347회
- Likes: 좋아요 29개
- Date Published: 2021. 3. 1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vpoFgMw8qt0
고등학교 과제 연구
1. 생이 가래 잎의 특징과 활용방안 <노벨상>
서론 : 평소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으로 한다.
본론 : 생이 가래 잎은 부상 식물이며, 뿌리가 없고, 잎이 뿌리 역할하며, 잔털이 있다.
이 잔털에는 방수 효과와 보온이 뛰어날 것이라 추측한다.
측정 방법 : 래미네이트 소재와 대조해본다.
실험 1) 방수 : 래미네이트, 생이 가래 잎에 물을 뿌리고 흐르는 각도를 측정한다.
결과 : 생이 가래 잎(150도)>래미네이트(90도)
실험 2) 보온 실험 : 온도를 올려, 그 온도가 얼마나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결과 : 실패 – 털이 쉽게 망가짐
실험 3) 부력 측정 : 물에 띄어 추를 사용해 측정
결과 : 실패 – 추를 달기 어려움
결론 : 이 실험 결과를 통해, 이 식물을 모방한 섬유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과학탐구실험 주제 꿀팁 1편] 주제 정하기 전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것! 답을 믿으세요 – Sk.taphoamini.com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 [과학탐구실험 주제 꿀팁 1편] 주제 정하기 전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것!“?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s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s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솔로몬과학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0,185회 및 좋아요 27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솔로몬과학 네이버 카페로 오셔서 많은 도움 받아가세요~
링크 : https://cafe.naver.com/solomonsci
* 과학탐구실험 주제 예시
* 과학탐구실험 강의
있습니다~
과학중점 고등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일반고와 다른 과목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과제 연구입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싶은 주제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2/17/2022
View: 6687
2020학년도 과제연구(R&E, 자유탐구) 주제 현황 · 1. R&E: 창의재단 R&E: 35팀, 교육청 R&E: 2팀. 자유탐구: 73개 주제 · 2. R&E : 수학5, 물리9, 화학9, 생물4, 지구과학1,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school.use.go.kr
Date Published: 3/17/2021
View: 336
선생님들께서 실제 생명과학 중심 과제 연구를 지도하시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는 어떤 것들. 이 있을까요? ① 주제는 어떻게 정하지? ② 주어진 연구 기간 내에서 …
+ 더 읽기
Source: kocw-n.xcache.kinxcdn.com
Date Published: 6/4/2021
View: 4914
향나무 향의 살충, 부패의 효과에 대한 연구. IMF가 어린이들의 생일 파티에 끼친 영향. SF 영화 속 과학 이야기 가두리 양식장 어류의 발병 치료에 …
+ 여기를 클릭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8/7/2021
View: 1706
탐구 주제 리스트 추천글: 【과학철학】 탐구 주제 리스트 종합 … 연구 주제, 발명 주제, 면접 질문, 예상 기출문제 리스트로 활용할 수 있음.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nate9389.tistory.com
Date Published: 8/16/2021
View: 8312
과학 분야의 탐구 수행 능력 함양 및 사회문화적 맥락에 맞는 창의적 문제 해결력 함양. (전시팀) 총 40팀. (고교)학생 과제연구 · (대학)학부생 연구 …
+ 여기를 클릭
Source: k-sciedu.kr
Date Published: 8/11/2022
View: 2409
어문학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농학 수해양 예체능 … 첫째, 선행연구와 같이 전년도에 고용된 노동자를 대상으로 고용유지 여부를 추정한 결과, …
+ 여기를 클릭
Source: kiss.kstudy.com
Date Published: 7/27/2021
View: 1212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과학탐구실험 주제 꿀팁 1편] 주제 정하기 전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것!.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최저임금이 저임금 노동시장에서 일자리 이동을 유발하고 최저임금 차상위 노동자에 파급효과를 미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복지패널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2018~2019년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과 근로소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같이 전년도에 고용된 노동자를 대상으로 고용유지 여부를 추정한 결과,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저임금 인상이 이직뿐 아니라 입직을 유발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당해 연도 신규 입직 노동자를 포함해 고용효과를 추정한 결과, 최저임금이 고용 규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저임금 인상이 노동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최저임금 구간별 고용효과를 추정한 결과, 2019년 최저임금 미만 구간의 고용은 감소하고 최저임금 차상위 100~120% 임금구간의 고용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최저임금 인상이 월평균 근로소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최저임금 미만 노동자의 근로소득은 10.8~11.7%, 최저임금 100%~ 120% 노동자의 근로소득은 2.7~4.8%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로부터 2018~2019년 최저임금 인상이 최저임금 미만 구간에서 차상위 임금구간으로 일자리 이동을 촉진시키고 근로빈곤층의 소득 개선에 기여하였다는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We estimate the effects of minimum wages on the employment and average earnings of workers in 2018~2019 period, using difference -in-differences approach.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Prominent minimum wage increase in 2018~2019 did not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low-wage jobs, when we consider both incumbent workers and newly-employed workers. Minimum wage increa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s of regular workers, but negative effect on the jobs of temporary workers. (2) Hourly wages of incumbent workers were increased by 8.4~9.7% and average earnings were increased by 6.4~8.1% due to minimum wage changes in 2018~2019. (3) We found that minimum wage increase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working hours,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e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minimum wage on average earnings was amplified by wage spillovers.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number of low-wage jobs remained unchanged and earnings of incumbent worker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prominent minimum wages increases in 2018~2019.
키워드 보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구성 공적경력경로
초록보기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인적구성에 대한 논의는 인선(위원장과 인수위원 및 실무자), 위원장 등의 리더십, 인수위와 정부 내각의 인선 간 연계여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구성원의 인적특성과 위원 등의 공공분야 경력경로, 새 정부 인선과의 연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수위원 구성은 사회·경제적 맥락과 대통령당선인의 인수위에 대해 부여한 주요 임무에 따라 달라졌다. 외환위기 상황이었던 김대중 대통령직인수위와 탄핵정국에서 출범한 문재인 정부 국정기획자문위에서는 인수위원과 자문위원으로 전·현직 국회의원 위주로 위촉했으나, 비교적 안정적인 사회·경제 상황에서 출범한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직인수위에서는 학계 및 경제계 인사 등을 인수위원으로 위촉했다. 그리고 당선인이 인수위에 부여한 핵심 임무를 기준으로 보면,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과도정부적 성격을 가졌던 김대중 대통령직인수위는 정치인 중심으로, 새 정부의 국정기본틀 형성 기구의 성격을 가졌던 노무현 대통령직인수위는 학계 인사 중심으로 인수위원을 인선했다. 다만 두 인수위 모두 실무인력은 행정관료를 중심으로 하되, 당료와 선대위 출신을 다수 참여시켰다는 공통점이 있다. 인수위원 등의 인수위 활동 종료 후 공공분야 경력경로를 살펴보면, 대통령들은 장관급 직위에 대해 정치인이나 학계 출신 인수위 참여자를 주로 발탁했으나, 기재부 장관의 경우 예외 없이 행정관료 출신이 발탁되었다. 그리고 차관급 직위에 대해서는 주로 행정관료 출신의 인수위 참여자가 임명되었다. 인수위 참여자의 인선과 새 정부 인선과의 연계성에 대해 대통령 집권 1년차에 장·차관 임명 시 인수위 참여자를 얼마나 지명했는지 기준으로 분석했다. 노무현 정부는 장·차관으로 인수위 참여자를 임명하는 사례가 매우 적었고, 박근혜 정부와 김대중 정부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임명 정도는 높지 않았으나, 특히 경제분야 장·차관의 경우 집권 1년차에 인수위 출신 인사를 임명한 특징이 있었다.
초록보기 지구온난화는 세계적인 기온의 상승과 함께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의 인명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주요 온열질환 취약계층은 실외작업자와 고령자이며, 점차 증가하는 폭염 피해에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온열질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폭염 피해를 대응하는 방안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활력 징후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온열질환 피해가 예상되는 의심환자에 대한 이벤트를 발생시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실시간 관제 플랫폼을 제안한다.
Global warming has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casualties caused by heat-related diseases caused by heat waves along with an increase in global temperature. The vulnerable groups from heat wave damage are outdoor workers and the elderly in particular, and it is necessary to respond the increasing heat wave damage. We propose a real-time control platform in order to reduce casualties of the vulnerable group from heatwaves, this research collects and analyzes user’s vital signs data from wearable devices that generates alarms out of the suspected victims who are expected to be affected by heat-related illness and to respond quickly.
초록보기 MZ세대는 최근 기업이나 정부기관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대상이다. Z세대에 대해 많은 기업과 기관들이 핵심 타겟으로 고려하고 있지만, 이들을 선택한 근거로서의 MZ세대 특성이 과연 MZ세대만이 독특하게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특성일 수 있는가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본 연구는 MZ세대가 가지고 있다고 기술되는 커뮤니케이션 특성들을 실제로 MZ세대가 가지고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이라고 기술되는 핵심컨셉 5가지를 도출하고, 이 컨셉에 대한 MZ세대, X세대, 그리고 베이비붐세대와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비교분석을 위해 200명의 M세대(밀레니얼세대), Z세대, X세대, 그리고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ARS 전화 서베이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다른 세대보다 MZ세대가 SNS를 포함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능숙도와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에 있어서 좀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 공정 및 가치관, 도전의식 등에 있어서는 MZ세대와 다른 세대 사이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세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른 세대와 구분되는 독특함이 있어야 하고, 그 독특한 특성의 근거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MZ generation actually has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that the MZ generation has. Although many companies and institutions are considering the MZ generation as a key target, verification has not been made as to whether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s a basis for their selection can be a characteristic unique to the MZ gene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core concepts described a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ere derived,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se concepts with the MZ generation, X generation, and baby boomers. For comparative analysis, an ARS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eople of Generation M(millennials), Generation Z, Generation X, and Baby Boom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Z generation showed higher scores in proficiency in digital media including SNS and preference for new content than other generation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other genera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blem-solving ability, fairness and values, and willingness to take on challe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must be a uniqueness that distinguishes a specific generation from other generations, and that the basis for that unique characteristic need to be derived through an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
초록보기 As Smartphones have become popularized among all age groups, SNS instant messengers have become a cultural phenomenon representing the current mobile era. In particular, KakaoTalk has the largest user base for an SNS messaging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s tend to engage in conversation on very personal and private issues. Given the nature of the medium and the types of topics and users, several new communication-related features have been observed. First, KakaoTalk has generated a semi-form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Second, since it takes approximately three to ten times more time to type in phonemes than to verbally utter them, KakaoTalk users often use only initial phoneme or a radically shortened vocabulary, so as to be on par with the utterance speed. Third, the presence of semi-spoken language facilitates the adoption/creation of nonverbal features, with which people can deliver feelings or gestures as effectively as in actual face-to-face dialogs. Conversations occurring over KakaoTalk often come with writing akin to sounds and with spelling ignored, additive particles at the ends of sentences, vowel changes, or nominal sentences closing with “um” or “sum” type. By noting such new phenomena involving SNS messengers, the current research analyzes actual conversation logs acquired at KakaoTalk and identifies sever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발발은 코로나19의 충격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는 세계경제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인플레이션을 확대시키는 한편 금융시장의 불안을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음. □ 우리 경제도 전쟁의 여파로 인한 글로벌 수입수요 둔화로 수출이 감소하고 원자재 공급망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으면서 기업의 생산이 차질을 받는 등 실물경제활동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음. □ 또한 최근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물가오름세가 유가, 곡물 등 원자재가격의 상승으로 더욱 확대되는 한편 안전자산 선호, 변동성 확대 등으로 금융시장의 원활한 작동이 저해될 우려가 있음. □ 이에 따라 전쟁이 장기화된다면 우리 경제는 경기가 빠르게 둔화하는 반면 인플레이션은 크게 확대되는 상충적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임. □ 이처럼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는 성장과 물가안정이라는 양대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조화로운 운용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됨. □ 또한 정책당국 간의 긴밀한 공조를 통하여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비상대응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금융시장과의 활발한 의사소통 채널을 가동하고 주요국 정책대응, 국제금융시장의 자금 흐름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음.
초록보기 인간은 교통약자로 태어나 교통약자인 장애인으로서 삶을 마감한다. 이동은 원활한 사회 활동을 위한 개인의 고유기능이며, 사회는 각 개인의 이동과 이동에 다른 제 활동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이동의 권한을 확보하고 증진을 도모하는 것은 인간의 고유한 권리이며 평등의 척도로서 작용하며 그 보장을 통해 사회의 통합에 기여하는 근본적인 문제이다. 헌법 제10조는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으며 헌법 제 11조는 제1항에서 평등권을 규정하고 있다. 나아가 헌법 제34조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 함께 신체장애자 및 질병ㆍ노령 기타의 사유로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에 대한 국가의 보호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이같은 헌법 규정에 근거하여 장애인이 어떠한 권리를 보장받고 어떤 수준의 급부를 국가에 요구할 수 있는지 불명확하다. 헌법재판소는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는 법적 성격상 장애인의 복지를 향상해야 할 국가의 의무가 다른 다양한 국가과제에 대하여 최우선적인 배려를 요청할 수 없으며 헌법의 규범으로부터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의 도입같은 구체적인 국가의 행위의무를 도출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인간의 존엄성’은 개인의 자유와 더불어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로 대표되는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함으로써 실현되지만 장애인의 이동의 자유는 향유의 측면에서 고립과 단절의 위치에 오랫동안 놓여 있었다. 도로 및 건물은 장애인의 진입과 퇴거가 용이하지 않는 배제의 상태로 존립하여 왔고, 대중교통수단의 경우에도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기엔 부족한 제도와 환경 속에 방치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는 적극적인 장애인운동으로 이어졌으며 장애인들은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기 위해 기존의 권리개념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동권’이라는 헌법이 예정하지 못한 형태의 권리를 고안해 냈다. 장애인의 이동권이란 장애인이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를 비장애인들과 차별없이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권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동권의 개념은 일상생활속에서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시설물을 제한없이 이용할수 있는 기본적인 권리인 접근권의 개념과 함께 구체화되었다. ‘접근권’이란 이동에 필요한 보행, 도로 그리고 지하철을 포함한 모든 대중교통수단에서부터 정보통신시설 및 공공건축물에서 주거에 이르기까지, 생활속에서 반복사용하는 생활필수 시설을 장애인이 접근ㆍ이용하는 데 지장이 없는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는 권리이다. 접근권의 확보를 위해 법률은 ‘편의시설’을 통해 권리 보장의 구체적인 방법을 정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편의시설’이라함은 장애인을 비롯하여 활동에 제약을 받는 사람들이 여러 가지 시설을 이용할 때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당사자들이 사회 적응에 대한 불편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기구나 시설, 설비를 말한다. 즉, 장애인 등이 비장애인과 차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설을 의미하며, 사회적 불리함(handicap)을 인적ㆍ물적ㆍ사회적자원의 이용과 협력을 통해 가능한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복지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일반적 행동자유의 영역에서 스스로 독립적으로 생활하며 사회구성원으로서 공동체속으로 동화ㆍ통합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중 필수적인 요소가 법적으로 장애인의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Humans, who are natural people, are born as transportation vulnerable and end their lives as disabled people. Movement is an individual’s unique function for smooth social activities, and society is maintained by different activities for each individual’s movement and movement. Therefore, securing and promoting the authority to move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acts as a measure of equality and contributes to the integration of society through the guarantee.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right to pursue dignity, value, and happiness as a human being,” and Article 11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right to equality in paragraph 1. Furthermore,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right to live a human life, as well as the state’s duty to protect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seases, old age, or other reasons, but it is unclear what rights the disabled can guarantee and what level of benefits the state can demand.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d that the right to live a human life as a basic social right cannot, due to its legal nature, demand top priority consideration for various national tasks, and derive specific national obligation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low-floor buses for the disabled. Human dignity is realized by guaranteeing the basic social rights represented by the “right to live a human life” along with individual freedom, but the freedom of movement of the disabled has long been in a position of isolation and disconnection in terms of enjoymen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roads and buildings have existed in a state of exclusion that is not easy for the disabled to enter and evict, and that even in the case of public transportation, they have been neglected in insufficient systems and environments to ensure free movement. This led to an active movement for the disabled, and in order to ensure a human life, the disabled devised a form of rights that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concept of rights. The right to move of the disabled can be defined as the right of the disabled to move by using transportation, passenger facilities, and roads without discrimination from non-disabled people. The concept of the right to move was embodied along with the concept of access, a basic right for everyone, including the disabled, to use facilities without restrictions in everyday life. The “right to access” is the right to live in an environmen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access and use of essential living facilities repeatedly used in daily life, from all public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walking, roads, and subway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public buildings. In order to secure access rights, the law stipulates specific methods of guaranteeing rights through ‘convenience facilities’. The term “convenience facilities” here refers to organizations, facilities, and facilities to solve the difficulties fac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stricted activities when using various facilities and to eliminate or minimize inconvenience to social adaptation.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facility that allows the disabled and others to work without recognizing the difference from the non-disabled, and plays a role in reducing social disadvantages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e use and cooperation of human, material, and social resources. The most desirable form of welfare means that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live independently in the realm of general freedom of action and assimilate and integrate into the community as members of society, and an essential element of the way to realize this is to create a system to legally guarantee freedom of movement.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전쟁의 양상을 전망해보고, 한국군의 미래전쟁 수행개념과 추진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위협과 기술의 미래가 전쟁의 미래를 결정하게 될 것인바, “누가”, “어떤 기술”을 사용할 것인가를 검토한다. 미중 패권경쟁, 북한의 불안정성, 전쟁과 평화의 모호성, 전략공간 확보의 중요성, 초국가적 위협 등이 “위협의 미래”를 구성하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무인전투체계와 초고속, 고위력 정밀타격 등이 “기술의 미래”를 결정한다. 이같은 변화로 인해 저강도 분쟁 또는 국지전이 언제든지 전면전으로 비화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주변국과의 갈등으로 이해 한반도에서 일어날 수 있는 6개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분쟁 시나리오와 전략/작전적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제시하는 미래 한국의 군사전략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적 중심 마비”를 전략목표로 하며, 국가주권 영역에서의 강력한 방위, 외부영역에서의 전략적 공세를 기본개념으로 제시한다. 방법으로는 “비선형 통합작전”을 통해 기습, 속도, 우세를 달성하며, “지능화된 유무인 복합체계”를 수단으로 하되 절대적 방위능력, 비대칭 공세능력, 전략적 기반능력을 요구능력으로 제시한다. 아울러 미래전쟁에 대비하는 군사혁신을 위해 위험평가의 적응성, 국가차원의 안보전략 수립, 한국주도의 작전완결성, 기술적용의 우선순위 설정, 취약성과 전략문화에 대한 고려를 정책제언으로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prospect the future war and present the concept of military strategy of the Republic of Korea. First, it considers “who” will use and “what technology” as the future of threat and technology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war. The U.S.-China hegemony competition, the instability of North Korea, the ambiguity between war and peace, the importance of securing strategic space, and transnational threats constitute the “future of threat,” while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nmanned combat systems and high-speed and high-powered precision strikes determine the “future of technology.” Such changes can lead to an all-out war at any time with low-intensity disputes or a regional war, and this study presents six scenarios that can occur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conflic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Based on conflict scenarios and strategic/ operational requirements, future military strategy of ROK is as follows. First, with “paralysing Center of Gravity” as the strategic objective, strong defense in the realm of national sovereignty, strategic offensive in the external sphere are analyzed as the basic concept. Methods achieve surprise, speed and superiority through “integrated nonlinear operations.” And “intelligent Manned Unmanned Teaming(MUM-T)” as means require absolute defense capabilities, asymmetric offensive capabilities and strategic infrastructure capabilities. In addition, for revolution of military affairs(RMA) in preparation for future wars, the author suggests adaptability of risk assessment, establishment of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completeness of ROK-led operations, prioritization of technical uses, and consideration of vulnerability and strategic culture as policy suggestions.
초록보기 이 글은 잉글리시 낱말 메타버스(Metaverse)를 우리말 ‘너머나라’로 뜻매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로 메타버스에 대한 일반적 의미를 알아볼 것이다. 메타버스는 흔히 ‘초월 우주’로 설명되거나 ‘현실과 가상세계의 융합’으로 규정된다. 둘째로, 메타버스라는 낱말의 짜임새를 밝혀볼 것이다. 메타버스는 메타피직(metaphysics)이 ‘자연을 넘어서는 일’로 해석될 수 있듯이 ‘유니버스를 넘어서는 일’로 여겨질 수 있다. 셋째로, 메타버스의 있음 방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볼 것이다. 메타버스는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딩 시스템 그리고 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로 구축되는 3D 공간으로서 사람에게는 오직 ‘디지아나(DigiAna) 방식’으로만 나타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메타버스에서 살아가는 모습들을 그려볼 것이다. 메타버스는 SNS나 의사소통을 넘어 게임, 회의, 공연, 전시, 업무 협업 등의 갖가지 넘어살이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과정을 거쳐 마침내 메타버스는 ‘넘어살이를 위한 디지아나의 나라’, 한마디로 말해, ‘너머나라’로서 뜻매김될 수 있다.
This article intends to define the English word Metaverse as the Korean word ‘go beyond’. To this end, first, we will look at the general meaning of metaverse. Metaverse is often described as a ‘transcendent universe’ or is defined as the ‘convergence of reality and thevirtual world’. Second, we will reveal the structure of the word metaverse. Metaverse can be regarded as ‘overcoming Universe’, just as metaphysics can be interpreted as ‘overcoming nature.’ Third, we will look at how metaverses exist. A metaverse is a 3D space built with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data centers, cloud systems, and the Internet, and can only appear as a ‘DigiAna method’ for people. Finally, we will show people living in a metaverse. The metaverse can go beyond social media or communication, extending to games, meetings,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work collaboration. Through this discussion process, metaverse can finally be meaningful as ‘DigiAna’s Universe for Living-beyond’ and in short, ‘A Beyond universe’.
Top 46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The 166 Top Answers
[과학탐구실험 주제 꿀팁 1편] 주제 정하기 전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것! [과학탐구실험 주제 꿀팁 1편] 주제 정하기 전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것!과제연구
Article author: school.use.go.kr
Reviews from users: 43970 Ratings
Ratings Top rated: 3.4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과제연구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과제연구
Table of Contents:
메인 컨텐츠
하단 컨텐츠
과제연구
Read More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Reviews from users: 19100 Ratings
Ratings Top rated: 3.6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과학중점 고등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일반고와 다른 과목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과제 연구입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싶은 주제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과학중점 고등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일반고와 다른 과목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과제 연구입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싶은 주제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쥐씨의 일상
이 블로그
체험경험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체험경험
카테고리 글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Article author: kocw-n.xcache.kinxcdn.com
Reviews from users: 5230 Ratings
Ratings Top rated: 4.1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1 생명과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주제 정하기 및 실험 설계 하기. 선생님들께서 실제 생명과학 중심 과제 연구를 지도하시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는 어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1 생명과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주제 정하기 및 실험 설계 하기. 선생님들께서 실제 생명과학 중심 과제 연구를 지도하시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는 어떤 …
Table of Contents: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Read More
과제연구
Article author: www.ushs.hs.kr
Reviews from users: 40061 Ratings
Ratings Top rated: 3.5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과제연구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과제연구
Table of Contents:
메인 컨텐츠
하단 컨텐츠
과제연구
Read More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Article author: www.edujin.co.kr Reviews from users: 6567 Ratings Ratings Top rated: 4.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이 학생의 경우처럼 생명과학과 의학 관련 탐구 가능한 주제 파악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으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세부 전공 분야를 아직 정하지는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이 학생의 경우처럼 생명과학과 의학 관련 탐구 가능한 주제 파악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으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세부 전공 분야를 아직 정하지는 ... 과제탐구, 질문을 찾고 구체화하는 출발점 과제탐구는 질문을 찾고 구체화하는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막연한 호기심을 구체적 질문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진짜 흥미를 찾거나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깨닫습니다. 흥미와 관련해 더 많은 책을 읽고 싶다거나, 관련 활동을 해 보고 싶다거나, 듣고 싶은 특강이 생긴다거나 하는 스스로 움직이게 해줄 동기가 생기게 됩니다. 이후 학교 안팎에서 일어나는 행사나 활동에 본인의 필요에 따라 주도적으로 참여합니다.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활동에 참여해 내면화하고 자신만의 브랜딩을 하는 것이 진로 활동 Table of Contents: 상단영역 본문영역 하단영역 전체메뉴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Read More 고등학교 융합과학 탐구 및 과학과제 연구 지도방법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KOCW 공개 강의 Article author: www.kocw.net Reviews from users: 41465 Ratings Ratings Top rated: 4.2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고등학교 융합과학 탐구 및 과학과제 연구 지도방법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KOCW 공개 강의 고등학교 융합과학 탐구 및 과학과제 연구 지도방법 … 과학과제 연구 지도 사례 III, 생명과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주제 정하기 및 실험 설계하기 생명과학 중심의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고등학교 융합과학 탐구 및 과학과제 연구 지도방법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KOCW 공개 강의 고등학교 융합과학 탐구 및 과학과제 연구 지도방법 … 과학과제 연구 지도 사례 III, 생명과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주제 정하기 및 실험 설계하기 생명과학 중심의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박기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과 교과목인 융합과학 탐구 과목과 과학과제 연구에 대한 지도 방법에 대한 연수를 진행하는 콘텐츠융합과학, 소논문, 탐구, 주제 정하기, 논문, 과학, 자연, 실험 Table of Contents: 바로가기 주메뉴 고등학교 융합과학 탐구 및 과학과제 연구 지도방법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KOCW 공개 강의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khunganhtreotuong.vn/blog.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사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과제탐구, 질문을 찾고 구체화하는 출발점 과제탐구는 질문을 찾고 구체화하는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막연한 호기심을 구체적 질문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진짜 흥미를 찾거나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깨닫습니다. 흥미와 관련해 더 많은 책을 읽고 싶다거나, 관련 활동을 해 보고 싶다거나, 듣고 싶은 특강이 생긴다거나 하는 스스로 움직이게 해줄 동기가 생기게 됩니다. 이후 학교 안팎에서 일어나는 행사나 활동에 본인의 필요에 따라 주도적으로 참여합니다.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활동에 참여해 내면화하고 자신만의 브랜딩을 하는 것이 진로 활동의 핵심입니다. 과제탐구 활동을 하면서 배우고 느낀 점과 그 활동을 위해 기울인 노력 등 관련된 모든 것이 학생부종합전형과 자기주도전형에 적합합니다. 이제는 학습이라는 개념을 단순히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것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조사하고 분석하고 탐구하는 모든 과정이 학습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학생부종합전형은 바로 이런 활동을 하는 학생을 원합니다. 왜냐하면 대학별 서류평가의 다양한 평가항목 중에서 ‘자기주도성’과 연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학생의 자기주도성이란 실행 과정에서만 찾을 수 있는 특성이 아니라, 계획하는 과정부터 실행 후 결과 분석과정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며 수업을 비롯한 학습과정과 교내 각종 활동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즉 비교과 활동에만 적용되는 개념이 아니라 교과와 비교과 활동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개념인 것입니다. 새로운 과제를 만들고,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을 만들어 수행하며, 일정한 성과를 창출하는지, 그리고 성과 창출에 그치지 않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도전을 위해 노력하는지를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수상경력을 통해 교과 지식의 활용과 학업의지의 자기주도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교과 세부능력 특기사항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수행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독서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탐색 과정을 확인할 수 있으며,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동아리 활동의 경우에도, 기존의 활동 프로그램을 답습하지 않고 새롭게 동아리 활동 과제를 제안하거나, 활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신의 역할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도 있습니다. [교과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 진로와 직업] 교사에게 제출한 노트와 보고서를 고려했을 때, 관련 교과와 교내활동에서 시작된 호기심을 바탕으로 지식을 확장해 나가는 자세가 탁월함. 수행평가를 통해 읽게 된 ‘확장된 표현형’을 계기로 진화생물학에 관심을 가지고 진화론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기 위해 생명과학2의 진화론 단원을 학습했으며… 수학 축전에서 관심을 갖게 된 3D바이오프린팅과 관련해 TED 강연을 시청한 후 느낀 점을 작성해 제출함. 재생의학이 줄기세포와 생체재료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현황과 강연자가 소개한 ‘신장을 만드는 방법’에 큰 흥미를 보임. 앞서 소개한 세특 내용은 의학계열에 지원하려는 학생의 구체적인 지적 호기심과 관심분야 등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 학생의 경우처럼 생명과학과 의학 관련 탐구 가능한 주제 파악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으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세부 전공 분야를 아직 정하지는 못했지만, 진로희망 사유에 ‘난치병 및 뇌질환 진단과 치료’라는 목표를 적었습니다. 의사로서의 인성을 기르기 위해 학교 내 인성 함양 프로그램인 멘토링 활동, 토론, 교내 봉사활동을 통해 친구들과 소통하며 협동하는 자세도 길렀습니다. 더불어 진로희망에 적합한 활동을 탐구하려고 합니다. 어떤 자료를 찾아보면 좋을까요? 다음과 같은 키워드를 사용하면 여러 자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학생이 관심이 있는 난치병과 뇌질환 관련 키워드를 줄기세포, 인공장기, 게놈으로 정해서 검색하면 연관 도서들이나 선행연구 자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기반으로 도전할 수 있는 교내외 활동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을 겁니다. ■ 생명과학·의학계열 탐구 키워드 예시 (1) 줄기세포 [줄기세포 발견에서 재생의학까지] (샐리 모건, 다섯 수레) / 2011.06.01. : 원제 From Micro scopes to Stem Cell Research: Discovering Regenerative Medicine(2006년)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여드름 개선] (문가람(2014). 성결대 교육전문대학원(미용교육 2014. 8) (2) 인공장기 [손에 잡히는 바이오토크] (김은기,디아스포라) / 2015.09.21 [영화 속의 바이오테크놀로지] (박태현, 글램북스) / 2015.05.10. [생각하는 생물학 강의] (유영제, 오래) / 2013.03.30. [인공망막 기반의 시각장애 보조기 디자인 연구, Investigation of the design for vision prosthesis by based on artificial retina] (배형선, 홍익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2009.2. -교내 동아리활동 (영자신문반 기사 게재 등) -뇌 전기 자극에 의한 급속한 지능향상|론머맨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인간의 뇌와 컴퓨터|코드명J 활동의 제목보다 중요한 것은 의문점을 품는 자세 여기서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관심분야나 진로 또는 전공학과에 맞춘 활동들의 이름과 제목 등이 중요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어떤 주제와 이론을 학습하게 된 원인과 탐구 동기, 그리고 어떤 교과목에서 배운 지식과 개념이건 그것으로부터 의문점을 품는 자세가 훨씬 더 중요해요. 다시 말해 생명과 화학 관련된 수행평가와 실험들, 발표수업 준비 등의 기회가 생길 때마다 무엇에 대해 진지하게 관찰하고 탐구하려면 자신이 좋아하는 미생물, 바이러스에서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지식들로 생각의 범위가 넓어져야 합니다. 그래야 과제 탐구의 과정 속에서 탐구하고 싶은 분야에 대해 더 구체적인 호기심과 문제 상황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을 하게 될 거예요! 필자 | 이성훈 꿈구두 교육플랫폼 의학생명&자연공학 연구소장 [과제탐구 끝판왕(증보판)] 저자. 이즈유 대입성공훈련관 과제탐구 소장, EBS교원연수과정 과제탐구 이론&실전편 강사. 진학 관련 프로그램을 기획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학생부종합전형 준비에 대한 ‘실천 로드맵’을 제시한다. 학생의 강점을 분석해 계열별로 융합적인 문제해결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저서로는 [과제탐구 끝판왕(증보판)], [합격 사례로 분석한 특목고/자사고 입시멘토링] 등이 있다. 수시전형 면접대비 시리즈에 포함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제시문기반 면접대비 기사와 의대-면접 기본편, 의대-다중미니면접 편 등을 기고했다. 제공 | 꿈구두 교육플랫폼 ‘꿈구두’ 교육플랫폼은 교육정보에 소외된 지역에 골고루 정보를 공유하며 공교육의 상향평준화를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다. 전국의 선생님과 학생의 미래를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꿈구두 교육플랫폼’ 프로그램 및 콘텐츠 문의 010-2618-0187 *에듀진 기사 UR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697 기사 이동 시 본 기사 URL을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등학교 융합과학 탐구 및 과학과제 연구 지도방법 1.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이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소개 과학 계열 전문 교과의 성격 2. 융합과학 탐구 개발 방향의 이해 융합과학 탐구의 성격과 목표 융합과학 탐구의 성취기준과 평가 3. 융합과학 탐구 수업설계 I 과학 연구를 위한 논문 검색 과학 연구 논문 검색 실습 4. 융합과학 탐구 수업 설계 II 연구윤리와 그 필요성 연구 윤리 위반 사례와 예방법 5. 융합과학 탐구 수업설계 III 연구 보고서 작성 방법 참고 문헌 작성 방법 6. 융합과학 탐구 수업설계 IV 연구 결과 발표의 필요성과 슬라이드를 이용한 구두 발표 연구 포스터 작성 및 포스터 발표 7. 융합과학 탐구 지도의 실제 I 가설연역적 연구 방법을 이용한 융합과학 탐구 지도 방법 물리학 중심의 융합과학 탐구 지도 사례 8. 융합과학 탐구 지도의 실제 II 과학 중심의 융합과학 탐구 지도 방법(탐구 수행 과정과 개념) 화학 중심의 융합과학 탐구 지도 사례 9. 융합과학 탐구 지도의 실제 III 페르미 추정법을 활용한 융합과학 탐구 지도 방법 생명과학 중심의 융합과학 탐구 지도 사례 10. 융합과학 탐구 지도 실제 IV 지구과학 중심의 융합과학 탐구 지도의 방법 지구과학 중심의 융합과학 탐구 지도 사례 11. 과학과제 연구 개발 방향의 이해 과학과제 연구의 성격 및 목표 과학과제 연구의 성취기준과 평가 12. 과학과제 연구 지도 사례 I 과학과제 연구에서 결과와 결론 작성 지도 방법 물리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지도 사례 13. 과학과제 연구 지도 사례 II 과학과제 연구에서 주제 선정과 계획서 작성 지도 방법 화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지도 사례 14. 과학과제 연구 지도 사례 III 생명과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주제 정하기 및 실험 설계하기 생명과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지도 사례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생명과학 탐구 주제 추천, 고등 생명과학 탐구 주제 추천, 고등학교 생명과학 소논문 주제, 과학 연구주제 예시, 고등학교 과학 과제연구 주제, 고등학교 과제연구 주제 추천, 과제연구 주제 예시, 과학과제연구 주제 추천
과학중점학교 학생 과제연구 1 페이지 > 2020 과학교육 온라인 성과공유회
권장 웹브라우저
2020 과학교육 온라인 성과공유회 사이트는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최신버전,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를 권장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시는 경우, 화면이 정상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위에 명시한 권장 브라우저와 다른 브라우저로 웹사이트 이용 및 이벤트에 응모하고 계시다면 해당 권장 브라우저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시기 바랍니다.
Top 25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136 Most Correct Answers
[과학탐구실험 주제 꿀팁 1편] 주제 정하기 전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것! [과학탐구실험 주제 꿀팁 1편] 주제 정하기 전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것!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Article author: school.use.go.kr
Reviews from users: 36381 Ratings
Ratings Top rated: 4.5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2020학년도 과제연구(R&E, 자유탐구) 주제 현황 · 1. R&E: 창의재단 R&E: 35팀, 교육청 R&E: 2팀. 자유탐구: 73개 주제 · 2. R&E : 수학5, 물리9, 화학9, 생물4, 지구과학1,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2020학년도 과제연구(R&E, 자유탐구) 주제 현황 · 1. R&E: 창의재단 R&E: 35팀, 교육청 R&E: 2팀. 자유탐구: 73개 주제 · 2. R&E : 수학5, 물리9, 화학9, 생물4, 지구과학1, …
Table of Contents: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Read More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Reviews from users: 46858 Ratings
Ratings Top rated: 3.0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과학중점 고등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일반고와 다른 과목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과제 연구입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싶은 주제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과학중점 고등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일반고와 다른 과목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과제 연구입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연구하고 싶은 주제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쥐씨의 일상
이 블로그
체험경험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체험경험
카테고리 글
고등학교 과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Article author: kocw-n.xcache.kinxcdn.com
Reviews from users: 40855 Ratings
Ratings Top rated: 3.2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1 생명과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주제 정하기 및 실험 설계 하기. 선생님들께서 실제 생명과학 중심 과제 연구를 지도하시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는 어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1 생명과학 중심의 과학과제 연구 주제 정하기 및 실험 설계 하기. 선생님들께서 실제 생명과학 중심 과제 연구를 지도하시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는 어떤 …
Table of Contents: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Read More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Article author: www.ushs.hs.kr
Reviews from users: 9683 Ratings
Ratings Top rated: 4.9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Updating
Table of Contents: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Read More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Article author: www.edujin.co.kr Reviews from users: 34576 Ratings Ratings Top rated: 4.2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이 학생의 경우처럼 생명과학과 의학 관련 탐구 가능한 주제 파악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으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세부 전공 분야를 아직 정하지는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이 학생의 경우처럼 생명과학과 의학 관련 탐구 가능한 주제 파악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으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세부 전공 분야를 아직 정하지는 ... 과제탐구, 질문을 찾고 구체화하는 출발점 과제탐구는 질문을 찾고 구체화하는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막연한 호기심을 구체적 질문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진짜 흥미를 찾거나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깨닫습니다. 흥미와 관련해 더 많은 책을 읽고 싶다거나, 관련 활동을 해 보고 싶다거나, 듣고 싶은 특강이 생긴다거나 하는 스스로 움직이게 해줄 동기가 생기게 됩니다. 이후 학교 안팎에서 일어나는 행사나 활동에 본인의 필요에 따라 주도적으로 참여합니다.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활동에 참여해 내면화하고 자신만의 브랜딩을 하는 것이 진로 활동 Table of Contents: 상단영역 본문영역 하단영역 전체메뉴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Read More 【자연과학】 탐구 주제 리스트 Article author: nate9389.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16532 Ratings Ratings Top rated: 4.3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자연과학】 탐구 주제 리스트 생물을 정의하기 어려운 것도 괴델의 불완전성의 정리의 예시인가? ○ 왜 수학은 오직 네 가지 분야로 축약되는가? ○ 허준이 교수님은 조합론과 기하학을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자연과학】 탐구 주제 리스트 생물을 정의하기 어려운 것도 괴델의 불완전성의 정리의 예시인가? ○ 왜 수학은 오직 네 가지 분야로 축약되는가? ○ 허준이 교수님은 조합론과 기하학을 … 탐구 주제 리스트 추천글: 【과학철학】 탐구 주제 리스트 종합 Translated in English : https://classroom.tistory.com/75 1. 수학 [본문] 2. 물리학 [본문] 3. 화학 [본문] 4. 생물학 [본문] 5. 지구과학 [본문.. Table of Contents: ‘▶ 자연과학’ 관련 포스팅 티스토리툴바 【자연과학】 탐구 주제 리스트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giarevietnam.vn/blog/. 생명과학·의학 계열 과제탐구 똑똑하게 하는 법! [과제탐구 끝판왕] *사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과제탐구, 질문을 찾고 구체화하는 출발점 과제탐구는 질문을 찾고 구체화하는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막연한 호기심을 구체적 질문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진짜 흥미를 찾거나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깨닫습니다. 흥미와 관련해 더 많은 책을 읽고 싶다거나, 관련 활동을 해 보고 싶다거나, 듣고 싶은 특강이 생긴다거나 하는 스스로 움직이게 해줄 동기가 생기게 됩니다. 이후 학교 안팎에서 일어나는 행사나 활동에 본인의 필요에 따라 주도적으로 참여합니다.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활동에 참여해 내면화하고 자신만의 브랜딩을 하는 것이 진로 활동의 핵심입니다. 과제탐구 활동을 하면서 배우고 느낀 점과 그 활동을 위해 기울인 노력 등 관련된 모든 것이 학생부종합전형과 자기주도전형에 적합합니다. 이제는 학습이라는 개념을 단순히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것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조사하고 분석하고 탐구하는 모든 과정이 학습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학생부종합전형은 바로 이런 활동을 하는 학생을 원합니다. 왜냐하면 대학별 서류평가의 다양한 평가항목 중에서 ‘자기주도성’과 연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학생의 자기주도성이란 실행 과정에서만 찾을 수 있는 특성이 아니라, 계획하는 과정부터 실행 후 결과 분석과정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며 수업을 비롯한 학습과정과 교내 각종 활동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즉 비교과 활동에만 적용되는 개념이 아니라 교과와 비교과 활동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개념인 것입니다. 새로운 과제를 만들고,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을 만들어 수행하며, 일정한 성과를 창출하는지, 그리고 성과 창출에 그치지 않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도전을 위해 노력하는지를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수상경력을 통해 교과 지식의 활용과 학업의지의 자기주도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교과 세부능력 특기사항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수행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독서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탐색 과정을 확인할 수 있으며,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동아리 활동의 경우에도, 기존의 활동 프로그램을 답습하지 않고 새롭게 동아리 활동 과제를 제안하거나, 활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신의 역할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도 있습니다. [교과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 진로와 직업] 교사에게 제출한 노트와 보고서를 고려했을 때, 관련 교과와 교내활동에서 시작된 호기심을 바탕으로 지식을 확장해 나가는 자세가 탁월함. 수행평가를 통해 읽게 된 ‘확장된 표현형’을 계기로 진화생물학에 관심을 가지고 진화론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기 위해 생명과학2의 진화론 단원을 학습했으며… 수학 축전에서 관심을 갖게 된 3D바이오프린팅과 관련해 TED 강연을 시청한 후 느낀 점을 작성해 제출함. 재생의학이 줄기세포와 생체재료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현황과 강연자가 소개한 ‘신장을 만드는 방법’에 큰 흥미를 보임. 앞서 소개한 세특 내용은 의학계열에 지원하려는 학생의 구체적인 지적 호기심과 관심분야 등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 학생의 경우처럼 생명과학과 의학 관련 탐구 가능한 주제 파악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으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세부 전공 분야를 아직 정하지는 못했지만, 진로희망 사유에 ‘난치병 및 뇌질환 진단과 치료’라는 목표를 적었습니다. 의사로서의 인성을 기르기 위해 학교 내 인성 함양 프로그램인 멘토링 활동, 토론, 교내 봉사활동을 통해 친구들과 소통하며 협동하는 자세도 길렀습니다. 더불어 진로희망에 적합한 활동을 탐구하려고 합니다. 어떤 자료를 찾아보면 좋을까요? 다음과 같은 키워드를 사용하면 여러 자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학생이 관심이 있는 난치병과 뇌질환 관련 키워드를 줄기세포, 인공장기, 게놈으로 정해서 검색하면 연관 도서들이나 선행연구 자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기반으로 도전할 수 있는 교내외 활동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을 겁니다. ■ 생명과학·의학계열 탐구 키워드 예시 (1) 줄기세포 [줄기세포 발견에서 재생의학까지] (샐리 모건, 다섯 수레) / 2011.06.01. : 원제 From Micro scopes to Stem Cell Research: Discovering Regenerative Medicine(2006년)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여드름 개선] (문가람(2014). 성결대 교육전문대학원(미용교육 2014. 8) (2) 인공장기 [손에 잡히는 바이오토크] (김은기,디아스포라) / 2015.09.21 [영화 속의 바이오테크놀로지] (박태현, 글램북스) / 2015.05.10. [생각하는 생물학 강의] (유영제, 오래) / 2013.03.30. [인공망막 기반의 시각장애 보조기 디자인 연구, Investigation of the design for vision prosthesis by based on artificial retina] (배형선, 홍익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2009.2. -교내 동아리활동 (영자신문반 기사 게재 등) -뇌 전기 자극에 의한 급속한 지능향상|론머맨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인간의 뇌와 컴퓨터|코드명J 활동의 제목보다 중요한 것은 의문점을 품는 자세 여기서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관심분야나 진로 또는 전공학과에 맞춘 활동들의 이름과 제목 등이 중요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어떤 주제와 이론을 학습하게 된 원인과 탐구 동기, 그리고 어떤 교과목에서 배운 지식과 개념이건 그것으로부터 의문점을 품는 자세가 훨씬 더 중요해요. 다시 말해 생명과 화학 관련된 수행평가와 실험들, 발표수업 준비 등의 기회가 생길 때마다 무엇에 대해 진지하게 관찰하고 탐구하려면 자신이 좋아하는 미생물, 바이러스에서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지식들로 생각의 범위가 넓어져야 합니다. 그래야 과제 탐구의 과정 속에서 탐구하고 싶은 분야에 대해 더 구체적인 호기심과 문제 상황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을 하게 될 거예요! 필자 | 이성훈 꿈구두 교육플랫폼 의학생명&자연공학 연구소장 [과제탐구 끝판왕(증보판)] 저자. 이즈유 대입성공훈련관 과제탐구 소장, EBS교원연수과정 과제탐구 이론&실전편 강사. 진학 관련 프로그램을 기획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학생부종합전형 준비에 대한 ‘실천 로드맵’을 제시한다. 학생의 강점을 분석해 계열별로 융합적인 문제해결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저서로는 [과제탐구 끝판왕(증보판)], [합격 사례로 분석한 특목고/자사고 입시멘토링] 등이 있다. 수시전형 면접대비 시리즈에 포함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제시문기반 면접대비 기사와 의대-면접 기본편, 의대-다중미니면접 편 등을 기고했다. 제공 | 꿈구두 교육플랫폼 ‘꿈구두’ 교육플랫폼은 교육정보에 소외된 지역에 골고루 정보를 공유하며 공교육의 상향평준화를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다. 전국의 선생님과 학생의 미래를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꿈구두 교육플랫폼’ 프로그램 및 콘텐츠 문의 010-2618-0187 *에듀진 기사 UR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697 기사 이동 시 본 기사 URL을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연과학】 탐구 주제 리스트 탐구 주제 리스트 추천글: 【과학철학】 탐구 주제 리스트 종합 Translated in English : https://classroom.tistory.com/75 ※ 해결된 주제는 연하게 표시함 ※ 연구 주제, 발명 주제, 면접 질문, 예상 기출문제 리스트로 활용할 수 있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2.09.09 1. 수학 1-1. 기하학 ○ 구를 잡아 늘려서 구의 안과 밖을 뒤집을 수 있을까? ➜ 위상기하학적 변환을 이용하여 구의 안과 밖을 뒤집는 게 가능하다는 게 증명되었다. (링크) ○ 기하학에서 오일러의 법칙, 즉 v – e + f = 2가 성립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 바이러스의 기하학적인 구조가 가지는 생물학적인 이점이 있는가? ○ 당신이 깃발과 나침반을 가지고 지구상 어딘가에 있다고 하자. 깃발을 땅에 꽂고 나침반을 보니 남쪽을 가리키고 있다. 당신은 남쪽으로 1.6 km 걸어간다. 방향을 꺾어서 동쪽으로 1.6 km 걷고 다시 북쪽으로 1.6 km를 걸어간다. 그랬더니 깃발이 있던 자리에 돌아와 있다. 이곳은 어디인가? (스페이스X 면접 문제) 이 답은 북극과 남극으로부터 1.6 km 북쪽에 있는 지점이다.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안장 구조같이 다른 구조도 있는데 이때에는 어떻게 되는가? ○ 골프공의 홈의 수를 계산할 수 있는가? (구글 면접 문제) 이 문제를 풀 때 구면삼각형의 면적에 대한 공식을 쓰는 것은 어떤가? 1-2. 대수학 ○ 단순 2차원 행렬의 곱셈도 복잡한데 초행렬(예. 3차원 행렬)의 곱셈에 대해서는 어떻게 정의하면 좋을까? ○ 리만 가설을 공리로 간주하여 유용한 수학적 결론을 유도할 수 있는가? 1-3. 조합론 ○ 표본평균의 표준편차와 표본비율의 표준편차는 왜 다른가? 다르긴 한가? ○ X1과 X2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르면 log X1과 log X2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른가? ○ 생명체를 완전히 정의할 수 없음은 불완전성의 정리의 예가 아닐까? ○ 비둘기집 원리에 의해 머리카락의 개수가 같은 사람들이 꽤 많이 존재한다. 이밖에 비둘기집 원리를 이용하여 얻은 다른 의외의 결과는 없는가? ○ 조합론 이론이 적은 건 분야 자체가 심오하지 않기 때문인가 아니면 연구가 안 됐기 때문인가? 1-4. 정수론 ○ 28명의 학생이 있을 때 어떻게 학생들을 분류할 것인가? 7명 4분단을 하면 짝꿍이 없는 학생이 발생해서 문제가 됨 1-5. 현대수학 ○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응용하여 수학적으로 임의의 시스템에 오류가 생길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을까? 예를 들면, 헌법은 어떤 오류가 있는가? 생물을 정의하기 어려운 것도 괴델의 불완전성의 정리의 예시인가? ○ 왜 수학은 오직 네 가지 분야로 축약되는가? ○ 허준이 교수님은 조합론과 기하학을 결합하여 문제를 풀었다. 왜 그 문제들은 서로 다른 학문을 결합하지 않으면 풀리지 않는가? 2. 물리학 2-1. 역학 ○ 심지를 통해 불이 이동할 때 그 이동속도에 대한 수식이 존재하는가? ○ 운동 마찰계수가 정지 마찰계수보다 작은 이유 ○ 버스는 정지한 상태에서 덜덜 떨린다. 출발할 때 왜 그런 진동이 없는가? 2-2. 전달현상 ○ 표면에 홈이 파진 골프공이 더 멀리 날아가는 이유는? ➜ 매끈한 공의 경우, 공이 바른 속도로 나아갈 때 공의 중간쯤에서부터 경계층의 분리가 일어난다. 이때 공의 중간이후부터 공기의 속도가 급격하게 떨어짐과 동시에 공기의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순환후류가 형성된다. 이 경우 공의 앞면에서는 높은 압력이, 뒷면에서는 낮은 압력이 걸려 큰 형태저항이 걸린다. 반면, 홈이 있는 공의 경우 공의 앞 표면에서 난류유동이 발생하여 경계층의 분리 및 순환후류가 훨씬 작아진다. 이렇게 되면 낮은 압력을 가지게 되는 공의 표면이 줄어들어 공의 저항이 감소한다. ○ 온도차가 많이 나면 문을 통과하면 바람이 세게 부는 이유 ○ 왜 터널을 통과하는 기차 내 압력은 낮아질까? ○ 물병에 뚜껑을 애매하게 닫으면 계속 진동하는 이유 ○ 노즐의 한쪽 끝에 바람을 불면 다른 쪽의 압력이 낮아지는가? 만약 그 끝이 뜨거웠다면? 2-3. 파동역학 ○ 진동하는 버스 창문을 상기해 보자. 버스가 달리거나 옆에 차가 지나가면 진동소리가 잘 안 들리는 이유는? 2-4. 전자기학 ○ 자기장으로 나노로봇을 움직여서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까? ➜ 이미 DGIST에서 구현됐다. 혈류는 빨라서 나노로봇을 통제하기 힘든데 신경관은 그런 이슈가 없어서 신경관을 따라서 나노로봇을 이동시켰다. ○ 먼지를 정전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신물질이 있을까? ○ 전기음성도와 쿨롱힘의 관계 ○ 자기장 자물쇠? 특정 물체만 자물쇠를 풀고 움직인 뒤 다시 자물쇠를 채우는 식 ○ 전자파 차폐가 되는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의 신호 간섭을 줄일 수 있을까? ○ 모기장이 패러데이 케이지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이를 전자기 차폐에 응용할 수 있을까? ○ 전자기학을 이용해 잃어버린 핸드폰을 쉽게 찾을 수 있을까? ○ 왜 동물의 털은 옷에 잘 붙을까? 정전기 때문인가? 그렇다면 전기 자극을 주면 옷에 붙은 털을 뗄 수 있지 않을까? ○ 전기장판 주변의 자기장은 10 G으로 지구자기장인 40 G보다도 작다. 그런데 전기장판 주위에서 네오디뮴 자석은 왜 진동하는가? ○ 얇은 철사에 220 V 전압을 가하면 구슬 모양으로 철사가 쪼개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러한 철 구슬이 전기장판의 특정 부분을 향하면서 떨어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2-5. 광학 ○ 거울을 적절히 배치하여 인상적인 비주얼라이제이션을 할 수 있는가? ○ 틴들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하는 수학적 공식은?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지 않을까? 2-6. 현대물리학 ○ 맥스웰은 전자기파의 속력이 c라는 것을 유도하여 빛이 곧 전자기파라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입자물리학에서 속력이 c인 입자는 광자만 있는 게 아니다. 과연 관찰 가능한 빛을 구성하는 real photon과 전자기력을 매개하는 게이지 보존인 virtual photon은 동일한가? ➜ 체렌코프 발광(Cherenkov radiation)에서 virtual photon이 real photon으로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왜 상대성 이론은 속도(특수)와 가속도(일반)에 국한되는가? 가속도 그 이상의 차원을 가진 함수에서는 어떠한가? ➜ 물리학에는 오직 4개의 힘이 있는데, 이들 힘은 모두 장 이론에 따라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가속도에 국한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 공통점에 비추어 4개의 힘은 결국 하나의 원리에 의해 지배된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대통일이론) 현재 우리우주에서는 물체 운동의 차수를 가속도로 제한하기로 ‘규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중우주론 관련). 상대성 이론이 가속도에 국한되는 것은 이 이유 때문이며, 주위의 물체가 가속도에 국한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이유는 복잡계 현상으로 그 경향성이 가려져 있는 것 뿐이다. ○ 파동이 한 매질을 통과하는 중이라고 하자. 그 매질이 갑자기 파동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움직인다면 파동의 진행방향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아마도 역학적 파동은 진행 방향이 전혀 변하지 않을 텐데, 빛과 같은 경우는 어떠한가? ○ 빛의 반사광의 에너지와 굴절광의 에너지를 호이겐스의 원리로 해석할 수 있을까? ○ 중금속을 킬레이터로 배위결합시키면 생체 내 독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방사선 폐기물을 제염하기 위해 킬레이터를 사용하는 건 어떨까? 3. 화학 ○ 분자량이 주어졌을 때 해당 분자량을 만들 수 있는 화학식을 쉽게 도출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정수론에서 아이디어를 채용할 수 있을 수 있을까? ○ 이산화탄소만을 걸러서 지구온난화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까? ○ 얼음이 어는 데 걸리는 시간 혹은 녹는 시간의 함수를 음펨바 현상과 관련시켜 분석할 수 있을까? ○ 음펨바 현상은 뜨거운 물이 결정구조를 잘 안 만들고 얼기 때문인가? ○ 종이가 물에 닿으면 촉감이 달라지고 색이 이상해지는 이유 ○ 탄수화물 내에 철가루를 집어 넣으면 시리얼처럼 영양적으로 유리하지 않을까? ○ 음식을 3D 프린터로 만들 수 있는가? ○ 스마트폰을 3D 프린터로 만들 수 있는가? ○ 편지에 쓴 글이 자동 형광이 되도록 하는 발명품. 햇빛과 화학물질이 반응한다든지. ○ 컵받침 바닥에 있는 물기는 증발하지 않아 위생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할 방법은? ○ 인류가 활용하는 화학반응은 수백 개 정도이다. (근거 1, 근거 2) 하지만 당장 대장균의 유전자는 3000개 정도이므로 대장균이 활용하는 대사반응은 훨씬 다양하다. 인류가 대장균만큼 다양한 화학반응을 모두 구현할 수 있을가? 4. 생물학 4-1. 동식물 ○ 식물은 겨울에 영양분을 뺏기지 않도록 잎을 떨어트리는데 그 외 가뭄이나 태풍 같은 경우에도 잎을 떨어트리는가? ➜ 가뭄의 경우 앱시스산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태풍은 물리적인 요인으로 잎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임 ○ 치약을 짜놓으면 다음 날 모기가 알아서 치약에 파묻혀 죽어 있는 이유는? ➜ 치약 성분 중 산화티탄(이산화티타늄)이 있는데 이 성분은 광촉매 하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 ○ 낙타는 사막에 적응하기 위해 현재 형태와 같이 진화했는가? ➜ 사실 낙타는 빙하기에 적응하기 위해 현재 형태와 같이 진화했다. ○ 동물이나 식물이 살고 싶어서 보통보다 최대 능력을 발휘할 때와 언제 일어나는지 ○ 새가 멀리, 높이 나는 것과 깃털의 관계 ○ 무리를 이루면 생물들이 갑자기 사회성 생물로 변할 수 있는가? ○ 바다달팽이가 염분이 높은 바다에 있을 수 있는 법은 무엇인가? ○ 바위에 꽉 붙어있는 생물은 무슨 원리로 붙어있는가? 접착제? ○ 나무가 잎을 떨어트리는 경우와 풀이 잎을 떨어트리는 경우 뭐가 다른가? ○ 낙엽을 제외하고 식물이 잎을 떨어트려야 할 때 잎을 떨어트리는 법? ○ 땀띠가 안 나는 동물? ○ 모기는 어떻게 피가 많은 살이라는 것을 알까? ○ 이산화탄소 발생기와 모기 퇴치기를 결합한 아이디어 ○ 파리는 어떤 색상 위에서 움직이지 않는가? ○ 거미는 위협을 받으면 거미줄을 흔드는 듯 같은데 정말 그런가? 그렇다면 어떻게 흔드는가? ○ 블랙 솔저 플라이는 뭐든 잘 먹고 이는 장내 미생물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단, 이는 유충상태에서만 적용되고 성충은 물만 먹는다고 한다. 이를 이용할 방법은? ○ 초음파 말고 microwave를 이용하는 박쥐도 있는가? ○ 꿀벌의 개체수가 얼마나 적어지고 있는지와 그것을 대비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 꿀벌의 비행 방식은 8자를 그리는 등 특이하다고 하는데 이를 로봇으로 구현할 수 있는가? ○ 집모기는 발생지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미국 어디든 서식지를 불문하고 번식하는 방법이 똑같은가? ○ 개는 왜 초콜릿, 견과류, 양파, 포도, 오징어 등을 먹으면 안 되는가? ○ 암꽃인지 수꽃인지 구분하는 일반적인 공식이 있는가? ○ 구더기는 어떻게 박테리아가 가득한 영양물질을 먹고도 잘 살까? ○ 닭은 왜 고개를 흔드는가? ○ 생태계 교란종을 내쉬균형의 파괴로 이해할 수 있는가? ○ 마우스도 화장실, 수면공간이 정해져 있다. 뇌의 어느 부위가 관장하고 진화론적으로 언제부터 그랬는가? ○ 양파는 기름기를 제거하고 마늘은 비위가 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원리는? ○ 왜 조개껍질은 탄산칼슘이고 갑각류, 절지동물 골격은 키틴이라는 탄수화물인가? ○ 왜 고양이 발에는 꾹꾹이가 있는데 토끼 발에는 없는가? ○ 땅 아주 깊은 곳에 사는 (가령 맨틀 근처에 사는) 벌레나 동물은 어떤 게 있는가? 아직 발견되지 않은 것도 많은가? ○ 식물은 기체교환률이 더 효율적으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기공이 분화되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떤 건물의 기체순환 시 식물모델을 통해 효율적인 배열을 알 수 있지 않을까? ○ 웃는 동물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왜 웃는가? 4-2. 생리학 ○ 배 부를 때와 고플 때 맛이 다른 이유는? ➜ 렙틴, PYY, CCK 등 식욕 조절 호르몬이 관여함 ○ 인간이 3차원보다는 2차원을 인식하기 편한 이유는? ➜ 세상은 3차원이고 동공을 통해 망막에 상이 맺히는 과정에서 1차원이 소모됨 ○ 목소리는 사람의 체격 외에 어떤 요인에 의해 정해지는가? ➜ 성대근육의 떨림이 목소리이기 때문에 그 근육의 굵기나 배열이 중요 ○ 반복적인 일을 잘 하고 있다가 괜히 의식해서 하려고 하면 잘 안 되는 이유는? 예를 들면, “내가 이걸 어떻게 하고 있지?” 하고 생각하면 바로 반복적으로 하던 일이 잘 안 된다. ➜ 소뇌가 잘 하고 있던 것을 대뇌가 하려고 하기 때문 ○ 운동을 하면 소화활동이 억제되는 이유는? ➜ 운동으로 인해 활성화되는 교감신경은 소화활동을 억제하기 때문 ○ 머리를 많이 쓰면 몸이 피곤한 이유? ➜ 포도당은 BBB를 통과할 수 있으며 GLUT1을 발현하는 뉴런에 빠르게 섭취된다. 그 뒤 세포질에서 해당과정이 일어나고 글리세롤-인산 셔틀을 통해 세포질의 NADH가 빠르게 미토콘드리아 내막 전자전달계로 전달된다. 평소보다 더 빠르게 머리를 쓰려고 하면 전자전달계가 충분히 복원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에너지 생산을 하려고 하면서 젖산 발효가 일어난다. 젖산은 피로의 주된 원인이 된다. 총 산소 소비의 20%에 뇌가 사용하므로 젖산에 의한 피로가 상당할 것이며, 휴식기에 젖산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실시간 혈압계를 만들 수 있을까? ➜ 미워치 등의 스마트 워치에서 구현된 바 있다. ○ 피가 끓는다는 말의 과학적인 의미는? ➜ 교감신경이 활발해진다는 것으로 이 경우 심장박동 상승, 혈관 수축, 혈압 상승 등이 일어나고 피가 끓는 듯한 느낌을 부여한다. ○ 인간이 시력이 나빠졌을 때 수술 없이 고칠 수 있는가? ○ 뼛소리와 성장단계의 관계가 있는가? ○ 분비관이 분비장소에 직접 분비하지 않고 피부를 통해서 내보내는 경우도 있는가? ○ 음식을 먹고 오줌을 싸면 그 색깔이 각기 다른데 그 이유와 경향성은 무엇인가? ○ 음식은 내성이 없으나 약은 내성이 있다. 그렇다면 음식 같은 약은 내성이 없지 않을까? ○ 생식계를 구성하는 피부 조직은 일반 피부 조직과 다른가? ○ 왜 재채기는 두 번씩 하는가? ○ 모기가 물면 왜 가려운가? ○ 굉장히 매운 음식을 먹을 때 특별한 성분의 침이 분비되는 듯 하다. 맞는가? ○ 가끔 극한의 카타르시스와 함께 특별한 맛의 침이 분비되는 듯 하다. 그 성분은 무엇이고 왜 분비되는가? ○ 인간의 혀에서 보이는 맛봉우리보다 더 크게 나 있는 여러 개의 깊게 파인 틈의 용도는 무엇인가? ○ 인간의 혀 아래에 있는 한 쌍의 더듬이 같이 생긴 구조물의 정체는 무엇인가? ○ 피부가 갈라지고 새 살이 돋을 때 그 피부가 다른 피부와 성질이 다른 이유. 물집났을 때를 생각해 보자. ○ 피부를 계속 긁으면 오돌토돌해지는 이유. ○ 어르신들의 만성적인 어깨 및 무릎 통증을 해결할 방법은? ○ 앞머리를 가린 게 이마 트러블의 원인이 맞는가? 두피는 왜 트러블이 적은가? ○ 왜 골똘히 고민하는 사람들은 펜을 돌리곤 하는가? ○ 사람의 뇌는 좌표로서 정의할 수 있는데, 사람의 몸 전체 또는 곤충에 좌표계를 부여할 수 있겠는가? ○ 어른이 되면 왜 딸꾹질이 훨씬 적어지는가? ○ 근육통은 언제 생기고 언제 풀리는가? 운동한 뒤 스트레칭을 하면 근육통은 생기지 않는다. ○ 습도가 높으면 시력이 안 좋아지는 듯하다. 맞는가? ○ 혈관 내를 빛으로 비춘다면? ○ 창자 내 기체의 압력과 대변의 관계? ○ 양치를 하지 않고 자면 입에 신 게 남아 있는 이유? ○ 식물호르몬 옥신 실험을 응용해서 마이크로 컨트롤을 테스트해 볼 수 있지 않을까? ○ 지구 자기장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이 있는가? ○ 밤을 새면 잠이 안 오게 하는 호르몬이 분비되는 것 같다. 맞는가? ○ 발끝이 차면 오줌이 마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 출생 후 첫 호흡은 들숨인가 날숨인가? ○ 알코올은 근손실을 야기하는가? ○ 사람이 나이가 듦에 따라 시력이 나빠지는 이유는 현대 사회에서 수정체가 두꺼워지는 요인이 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성장하면서 두뇌 용량이 증가하면서 머리가 앞뒤로 길어져 망막이 뒤로 가 상이 망막 앞에 맺히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 두뇌 용량 증가는 인류의 진화와 함께 일어난 현상으로 원시인류도 두뇌의 용량이 증가했을 것이다. 두뇌 용량 증가로 인해 시력이 나빠진다면 원시인류의 생존에 치명적일 텐데, 시력이 나빠지지 않는 10대 중후반이 원시인류의 수명이 아니었을까? ○ 임산부 피트니스 센서? ○ 다리를 삐었을 때 그 정도와 회복 진척을 알아보기 위해 부분 MRI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 발에 땀이 차는 것을 막는 발명품이 있을까? ○ 운동을 하면 발한 작용이 활발해지는 것처럼 이뇨 작용도 활발해지는가? 만약 그렇다면 혈압이 높아져서 이뇨 작용이 활발해지나? ○ 남아가 여아보다 1.05배 더 많이 태어나는데 XY염색체를 가지는 것보다 XX염색체를 가졌을 때 염색체 돌연변이가 일어날 확률이 더 높기 때문인가? ○ 푸틴은 딸만 낳고 머스크는 아들만 낳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아니면 우연인가? 비슷한 예로, 신라 시대에는 유독 여왕이 많았던 점, 엘리자베스 여왕 집안에 여성이 많았던 점, 임창정은 아내가 달라도 아들만 낳았던 점, 정형외과 의사는 딸을 낳기 쉽다는 점이 있다. 조금은 다른 예로, 쌍둥이의 부모는 다시 쌍둥이를 낳기 쉽다. ○ 왜 러시아는 여자가 많은가? 추위가 영향을 주는가? ○ 동양인 몸의 말단이 작은 것은 빙하기 때문인가? ○ 많은 경우에 이뇨작용과 배출작용이 같이 일어나는 이유는? ○ 좌뇌와 우뇌 중 어떤 게 더 에너지를 많이 사용할까? ○ 사람의 몸에서 기압을 인지하는 부위는? 4-3. 분자생물학 ○ 프리온을 죽이는 법은? ➜ 프리온은 단백질이므로 단백질 분해효소 등을 쓰면 되지 않을까. 하지만 열에도 그렇게 잘 버티는 것을 보면 고민이 필요할 듯 하다. ○ 왜 프리온은 구조가 변하는가? 그 기능은 무엇인가? ○ 생식세포 내 DNA는 단일가닥이면서 어째서 안정한가? ○ 각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유전자 집합을 정의하면 DEG로부터 특정 병리기전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가 무엇인지 알 수 있지 않을까? ○ 단속평형설이 성립하는 이유는 환경이 거의 똑같은 방식으로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이 아닐까? ○ 인트론까지 포함한 유전암호 분석을 언어 분석처럼 간주하여 자연어 처리로 분석할 수 있지 않을까? 4-4. 세포이론 ○ 원형질 연락사의 기작이 시냅스소포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내보내는 것과 유사할까? ○ 세포별로 특이적인 주파수가 있을까? ○ GFP, td tomato 등의 형광 단백질은 있으나 형광을 발하는 세포가 있는가? 있다면 이를 추출하거나 만들 수 있는가? ○ Tomocube는 왜 미토콘드리아, 소포체를 볼 수 없는가? ○ 준 생물체(코아세르베이트, 마이크로스피어 등)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은? 4-5. 미생물 ○ 현재로서 최선의 항생제는 무엇인가? ➜ 항생제는 크게 두 가지의 방식으로 항세균성을 갖는다. 하나는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는 것이고 또다른 하나는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여기서 페니실린은 전자에 해당하고 스트렙토마이신은 후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세포실험 시 항생제로서 쓰는 PS(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는 상당히 포괄적으로 세균을 차단해준다. 참고로 너무 좋은 항생제는 슈퍼 박테리아를 만들 수 있으므로 FDA에서 보조금을 주면서까지 시중에 팔지 못하게 한다. 나중에 정말 필요한 순간에 쓰기 위함이다. ○ 세균 점막 위에 곰팡이를 두면? ○ 바이러스의 기하학적인 구조와 관계된 단백질은 무엇이 있는가? 정20면체를 생성하려면 굉장히 많은 단백질이 필요한가? ○ 물곰팡이의 경우 빵에 인접한 부분만 변색이 되었다. 그러나 부착 곰팡이의 경우 빵 전체적으로 변색이 되었다. 그 이유는? ○ 바이러스는 원형질 연락사를 확장시키는 물질을 생성하기도 하는가? ○ 곰팡이가 있는 곳에 벌레가 없는 듯 하다. 맞는가? ○ 그람염색 같이 곰팡이 염색법은 없는 건가? ○ 식물이 담긴 물에 곰팡이가 잘 피지 않는 이유는? ○ 내장 비만의 원인은 장내미생물이다. 이를 역이용하여 비만을 치료할 수는 없을까? ○ 화성을 생명이 살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려면 미생물을 퍼뜨리는 게 선행돼야 한다. 가장 먼저 퍼뜨리면 좋은 미생물은 무엇인가? ○ 콜레스테롤을 합성하지 못하는 대부분의 세균이 합성하는 호파노이드를 타겟팅하는 항생제가 있는가? 4-6. 뇌과학 ○ 뇌의 재인 기능을 설명하는 모델은 무엇인가? ○ 인셉션에 나오는 무의식은 진실에 부합한가? ○ 음악으로 최면을 걸 수 있는가? ○ 광고에서 PPL 노출시간을 프레임 단위로 줄이면 (대신, 그만큼 빈도를 높이면) 무의식적으로 해당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PPL 최소 지속시간을 법적으로 정해놓았는데, 음악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기법이 오히려 권장되지 않을까? 그리고 그러한 기법이 효과적인가? ○ 잠잘 때에도 무조건반사는 일어나는가? ○ 인간은 어떤 조건에서 잠이 깨는가? ○ 왜 상대방에게 얼굴을 들이대면 낯이 뜨거운가? ○ 죽기 직전에 고통을 느끼는가? ○ 술이 머리 한 쪽으로 몰린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는가? ○ 무의식을 정의할 수 있는가? ○ 정보 서치의 효율을 높이려고 정보에 위계를 부여하여 뇌에 저장하는가? 더 암기를 잘하려면 하위에 저장하는 식? ○ 암기하는 방법도 정해진 방법으로? 특정 방법으로 외우면 아주 잘 외워진다든지. ○ 딥러닝과 인간 뇌의 차이는 무엇인가? 우리는 뇌를 만들어 나간다, ○ 인간이 무작위 수를 표현하라고 할 때 나타나는 패턴은? 수가 몰려 있는다든지. ○ 꿈을 기록하는 장치를 만들 수 있는가? ○ 인간의 인지 구조와 가장 닮은 자료구조는 트리인가? ○ 더 잘 아는 분야에서 더 재미를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 기본적으로 새로운 네트워크, 곧 새로운 시냅스의 형성이 자유의지의 원천이라면 기계는 결코 흉내낼 수 없는 것이 아닌가? ○ 틀린 사실을 알아내는 것과 무언가 달라짐을 느끼는 것은 동일한 과정인가? ○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하기 쉬운 사람이 있고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쉬운 사람도 있다. 이는 번역이라는 행위가 일방향적이라는 의미이지 않을까? ○ 인간의 뇌를 복제하려면 신경교세포를 복제해야 하고, 교세포를 복제하려면 교세포의 교세포를 복제해야 한다. 인간을 복제하는 게 과연 가능하고 또 의미가 있겠는가? ○ 시간복잡도 말고 기억복잡도 같은 것도 있을까? ○ 지루함은 상상력과 자기 동기부여의 부족에서 오는가? ○ 오래 전에 잠깐 한 생각인데 기억에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 명상은 sleep과 awake의 중간인가? 예를 들면, 명상을 하면 잠을 적게 자도 된다던가? ○ 수면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모두 불활성화된 제3의 상태인가? 4-7. 병리학 ○ 암세포로 통하는 신생혈관을 막아 버리면 암을 치료할 수 있지 않을까? ➜ 실제로 temozolomide, bevacizumab 등 많은 약제가 암세포의 혈관신생작용을 타겟팅하여 암을 치료하고 있다. ○ 왜 anti-inflammatory (M2) macrophage는 종양 주변에 있을까? 암세포의 실익은 있으나 대식세포의 실익은 무엇일까? ➜ 악성 종양은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혈관이 종양속으로 자라도록 혈관신생(angiogenesis)을 유도한다. 그리고 대식세포는 소화효소를 분비하여 주위 세포와 세포외기질들을 분해하며 혈관이 있는 쪽으로 길을 만든다. 대식세포의 실익은 혈관으로부터 공급된 산소와 영양분이다. ○ 수면 부족으로 인한 장 트러블과 높은 대장암 발생 빈도는 장신경총 때문인가? 4-8. 생물정보학 ○ 3차원 유전체 시퀀싱, 3차원 전사체 시퀀싱 등은 가능할까? ➜ 2020년 2차원 공간 유전체, 공간 전사체 기술은 올해의 기술로 선정되었으며, 마우스의 뇌의 2차원 공간 전사체를 쌓아 올려 3차원 공간 전사체를 구축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런 전사체 정보와 3D 프린팅을 결합하면 상용화된 인공장기(organoids)를 만드는 것도 멀지 않은 미래인 듯 하다. ○ temporal sequencing (longitudinal sequencing, live-cell sequencing)은 가능할까? ➜ 2022년 네이처 논문을 통해 그게 가능하다는 게 증명되었다. ○ 페이퍼 기반으로 셀 타입 마커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알고리즘을 구축할 수 있을까? 오래된 마커이거나 부정확한 마커를 제거하기 위해 최신 빈도가 높은 마커를 선별해야 할 것이다. ○ 딥러닝이 상당한 학습력을 가지는 건 각 노드에 자유도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딥러닝의 개념은 뇌에서 모티브를 얻어 고안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뇌뿐만 아니라 다른 장기도 구조를 통해 정보를 학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DNA로는 설명이 안 되는 복잡함과 비균질성이 있기 때문이다. 추후에 정보이론에 따라 DNA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양과 실제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양을 비교하여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보면 좋을 듯 하다. 구조를 통해 정보를 학습한다면 장기를 학습시키는 데이터는 환경에서 주어질 것이다. 그리고 특정 셀 타입(예 : 백혈구)의 경우 자유도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가설에 따라 많은 정보를 학습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중심학설에 따르면 DNA, RNA, 단백질이 생명의 기초 원리인데 DNA는 너무 획일화되어 있고 단백질은 너무 다양하다. 그래서 생물정보학의 근본은 RNA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 5. 지구과학 ○ 사막을 간다면 가장 필요한 1개의 물건은 무엇인가? (면접문제) ➜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물건과 사막을 개선하기 위한 물건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사막은 알베도가 삼림, 바다보다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해 빛에 의한 신체적 피해가 예상된다. 예를 들어, 강한 빛은 실명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선글라스를 가져가야 하며 피부암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선크림을 가져가는 게 필요하다. 또한 탈수 증상을 막기 위한 물과 탈진을 막기 위한 영양제, 실족사를 막기 위한 안정 장비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는 단기적인 조치이며 사막을 개선하는 장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사막을 개선하는 방법은 이끼류, 곰팡이류 등과 같이 생명력이 강하고 물을 붙잡아 둘 수 있는 생물을 우점종으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또한 지표미생물의 주를 이루는 대장균을 가져가서 지표 군체의 구성을 바꾸고 수분 친화적으로 바꾸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는 있다. ○ 인류가 화성에 도달하면 어떤 산업이 대두될 것인가? ➜ 화성이라는 행성을 자원화하는 게 중요하고, 무게가 무거운 광물을 우주선으로 수송하기보다는 유기물을 수송하는 게 더 현실적으로 보인다. 유기물은 식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지만 에너지원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에너지원은 지구상에서 판매할 수도 있는가 하면 우주 왕복선에 사용할 수도 있어서 중요하다. 이러한 농업을 실현시키기 위해 완전 무인화 농업과 화성에서도 자라는 식물이 화두가 될 것이다. ○ 버뮤다 삼각지대는 지질활동과 관련 있는가? ○ 왜 남극은 북극보다 더 추운가? ○ 어떤 데는 비가 세차게 오고 바로 옆은 비가 안 오는 경우가 많은데 왜 그런가? ○ 태풍의 눈은 미분 가능한 특이점인가? ○ 구름 낀 저녁이 더 밝은 이유는? 산란과 관련 있는가? ○ 씽크홀이 동그란 이유는 무엇인가? ○ 오존홀은 왜 남극에 있는가? 6. 컴퓨터과학 6-1. 알고리즘 ○ DIP(deep image prior)를 통해 noisy image로부터 clean image를 얻을 수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 많은 이들이 CNN이 자체적인 보정기능이 있어 주어진 입력을 strict하게 학습하지 않고 유연하게 진실에 근접한 이미지를 만들어 준다고들 설명한다. 하지만 그것보다는 더 심오하다고 생각하는데, 없는 정보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하고 반복되는 구조가 자연에 많아서라고 추정한다. ○ 자유의지를 가진 인공지능을 실현시킬 수 있는가? ○ 검은 배경에서 특정 실루엣을 따는 알고리즘 작성 시 검은 바탕에 대한 통계분포를 이용해보자. ○ 가상현실, 메타버스로 구현돼 있는 차세대 SNS ○ 파워포인트에 인공지능을 심으면, 발표하면서 발표자료 프로그램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지 않을까? ○ 파워포인트로 이미지 객체들을 가지런히 정렬하려면 맞춤 등을 해되서 여간 단순한 일이 아니다. 이를 자동으로 맞춰주는 프로그램 내지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없을까? ○ 온라인 상의 개인정보를 지워주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가? 디지털 장의사.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단점 ○ 자주 안 쓰면 망각하는 시스템 ○ 서로 다른 타임포인트의 이미지로 그 사이 시간대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알고리즘? 단순히 평균을 하면 불합리하게 블러링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CCTV나 블랙박스가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는데, AI로 필요한 부분만 추출해서 저장하는 알고리즘이 있으면 유용하지 않을까? 6-2. IoT ○ 드론 간 통신을 통한 공조를 통해 전술이나 퍼포먼스에 응용할 수 있지 않을까? 6-3. 모빌리티 ○ 자율주행 전동휠체어를 만들 수 있을까? ○ 폴더블 카를 만들 수 있을까? ○ 오뚜기 자전거를 만들 수 있을까? ○ 차는 왜 앞뒤로만 움직이는가? 좌우로 움직여서 평행주차 등을 쉽게 할 수는 없을까? ○ 자동차 와이퍼가 좀 전체적으로 닦아줄 수는 없을까? 6-4. 로봇 ○ 마트류시카를 모방한 로봇을 만들 수 있을까? ○ 스스로 충전하는 로봇을 만들 수 있을까? ○ 모기 유충을 제거하는 로봇을 만들 수 있을까? ○ 곤충의 골격을 모방한 디바이스을 만들 수 있을까? ○ 파리처럼 천장에 붙을 수 있는 기계를 만들 수 있을까? 드론은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 6-5. 드론 ○ 드론 중에 접착제로 천장에 붙을 수 있다면? ○ 만약 드론이 미로를 풀 수 있다면? ○ 배가 침몰하기 전 드론을 수백 개를 띄워 내부를 스캔하는 장치를 만들었더라면? ○ 움직이는 카메라. 드론에 카메라를 붙이고 원격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반응은 괜찮을 듯 ○ 멀티 프로펠러 드론으로 카메라 거치대 없이 사진을 찍을 수 있지 않을까? 7. 적정기술 ○ 시각 장애인용 계산기를 만들 수 있을까? ○ 가상의 발을 만들어서 축구를 할 수 있게 하여 다리가 없어도 축구를 할 수 있는 기술. 가상현실에서라도 구현할 수 있지 않을까? ○ 모터의 회전력으로 점자 돌출 장치를 만든다면 시각 장애인용 점자 장치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 모터의 회전력으로 돌출 장치를 만들다면 장애인 휠체어 축구에 기여할 수 있지 않을까? ○ 일부 디바이스 버튼에 대한 점자 표시를 생활에 응용할 수 있지 않을까? 아이콘 티셔츠, 마이크 모양 등 8. 환경 ○ 태평양 쓰레기 섬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 비오는 날 실내에 들어가기 전에 우산 커버를 위한 비닐이 비치되어 있다. 이 비닐의 쓰레기 양이 엄청나다. 다른 재료로 대체할 수는 없을까? ○ 쓰레기통 주위에 물체가 깨끗할 수는 없는가? 입력: 2015.10.27 07:50 수정: 2022.08.16 14:52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생명 과학 과제 연구 주제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생명과학 탐구 주제 추천, 고등 생명과학 탐구 주제 추천, 과학 연구주제 예시, 고등학교 과학 과제연구 주제, 고등학교 과제연구 주제 추천, 과제연구 주제 예시, 과학과제연구 주제 추천, 과제연구 주제 선정
키워드에 대한 정보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다음은 Bing에서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과학과제연구 어떻게 하는거야…….?? 연구하라구?? #0
- 과학과제연구
- 연구 보고서
- 수시
- 생기부
- 과학과제연구 주제
- 주제 추천
- 실험보고서
- 수시합격
과학과제연구 #어떻게 #하는거야…….?? #연구하라구?? ##0
YouTube에서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과학과제연구 어떻게 하는거야…….?? 연구하라구?? #0 | 과학 과제 연구 주제 추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