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isleartisan.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isleartisan.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올배움kisa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425회 및 좋아요 4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 –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임종현 교수님의 공조냉동기계기사 강의입니다.
본 강의는 올배움 수강신청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합격 국가기술자격증!!
올배움kisa 자격증 www.kisa.co.kr
카카오톡 실시간 상담 http://pf.kakao.com/_KLtxhM
– 올배움 공조냉동기계기사 수강하러가기
https://www.kisa.co.kr/course.php?code=0106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
* 기사/산업기사/기능사/기능장/기술사 합격률 1위, 만족도 1위, 등록율 1위
품질경영기사, 품질경영산업기사,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산림기사, 콘크리트기사 등 국가기술자격증 바로합격 수강 문의
올배움kisa 1544-8509(바로공부), 02-365-8509(365일 바로공부)
카카오톡 실시간 상담 http://pf.kakao.com/_KLtxhM
*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 전임교수 임종현교수님 프로필
– 온라인교육기관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과정 전임교수
– 온라인교육기관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과정 전임교수
– 온라인교육기관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과정 전임교수
– 공조냉동기계기술사 보유
– 미국 기계기술사 보유
– 건설기계기사, 산업안전기사 등 다수 자격증 보유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
– 올배움 다른 자격증 강의 보러가기
https://www.youtube.com/c/올배움kisa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
#공조냉동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필기 #올배움kisa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공조냉동기계기사 자료,필기 요점정리 및 기출문제 다운받기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요점정리 모음집 입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학원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하신다면 훨씬 수월하게 취득 하실 수 있습니다. 무료 …
Source: taeeon89.tistory.com
Date Published: 1/18/2022
View: 2530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요점정리 및 공부방법 – 영햄 여행
공조냉동기계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 중 절반은 제 글을 한번씩 보시고 간 것 같습니다. 기계기사 카페에 올린 후부터 여태 수만명의 조회수가 쌓여 …
Source: 0ham.tistory.com
Date Published: 2/1/2022
View: 5669
2022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총정리 – YES24
이 책은 새로 개정된 출제기준에 따라 내용을 재구성하고 보충하여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수험생들에게 길잡이가 되고자, …
Source: www.yes24.com
Date Published: 6/19/2021
View: 7155
공조냉동기계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시험 대비 핵심 요약 요점 …
공조냉동기계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시험 대비 핵심 요약 요점 파일 정리 및 첨부파일. 롤라❤️ 2021. 9. 18. 08:06. 반응형. ❑ 냉동 : 인공적으로 주위의 온도 …
Source: pals.tistory.com
Date Published: 5/27/2022
View: 8436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포인트 현황 · 방문자 현황 · 전자문제집 CBT 최신 기출문제, 복원중, 해설집, 자주 하는 질문 모음 · 공조냉동기계기사 최신 기출문제 안내 ·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
Source: www.comcbt.com
Date Published: 1/27/2021
View: 634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https://i.ytimg.com/vi/7c8l8muZuOc/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 Author: 올배움kisa
- Views: 조회수 4,425회
- Likes: 좋아요 45개
- Date Published: 2022. 3.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7c8l8muZuOc
공조냉동기계기사 자료,필기 요점정리 및 기출문제 다운받기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공조냉동기계기사 기출문제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자격증 취득 관련 상세자료를 무료로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요점정리 및 시험과목 입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 에너지관리, 공조냉동설계, 시운전 및 안전관리, 유지보수 공사관리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요점정리.zip 2.96MB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요점정리 모음집 입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학원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하신다면 훨씬 수월하게 취득 하실 수 있습니다. 무료 국비지원을 확인 해 보시길 바랍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시험과목 및 시험 출제기준 입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 냉동 및 냉난방설계(필답형)
공조냉동기계기사 출제기준.hwp 0.05MB
2022.1.1 ~ 2024.12.31 까지의 공조냉동기계기사 시험 출제기준 입니다. 참고 해 보시길 바랍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기출문제
공조냉동기계기사 기출문제는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핵심개념서를 무료로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기출문제 다운받기
필기,실기 각각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시 합격 입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요점정리 및 공부방법
공조냉동기계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 중 절반은 제 글을 한번씩 보시고 간 것 같습니다. 기계기사 카페에 올린 후부터 여태 수만명의 조회수가 쌓여있네요. 이제 대부분 공조냉동기계기사 공부방법이 거의 정립화되고 있으며, 많은 분들이 합격하셨다고 개인톡으로도 연락이 옵니다. 한번 읽어보시고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공부하는데 있어서 하나라도 건져가시길 바랍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합격 수기
공조냉동기계기사 합격 수기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요점정리
필수 실기자료 다운받아 두세요 🙂
합격하는데 도움되실겁니다!
합격수기는 이걸로 자세히 보시고
이 글은 간략하게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공조냉동기계기사 개편
2022년 내년부터
공조냉동기계기사 개편이 됩니다.
따라서 남은 3회차 무조건 따시길 바랍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2022.1.1_2024.12.31).pdf 0.25MB
공조냉동기계기사(2022.1.1_2024.12.31).hwp 0.05MB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합격
공조냉동기계기사
냉동공조가 안들어가는 곳이 없습니다.
기계자격증 중 써먹기 좋은 자격증 중 탑이라고 생각합니다.
전기기사 취득하신 분들도 더불어 취득하는 자격증이에요.
실제로 전기와 공조냉동은 떨어질 수가 없기 때문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전기기사도 꼭 한번 도전해보세요!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책 추천
개정 전에는 엔플북스 7주완성 혹은 이론편
추천드렸으나 22년부터 필기가 개정되는 관계로
우선 아래에 있는
유튜브 에듀강닷컴에서 냉동, 공조 과목을
유튜브 최과장에서 열역학 과목을 이론 공부 후
곧 개정판으로 나올 엔플북스, 이패르, 일진사
3권을 서점에서 비교 후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과목
1.기계열역학
2.냉동공학
3.공기조화
4.전기제어공학
5.배관일반
필기에서 냉동, 공조 2과목을 필히 마스터하고 가셔야
실기에서 남들보다 이해도 빠르고 공부하기 편해집니다.
옛날과 다르게 요즘은 유튜브 덕에
공부하기 정말 편해졌습니다.
열역학은 유튜브 최과장님 강의로
짤막하게나마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나머지 냉동공학/공기조화/전기제어공학/배관일반
유튜브 에듀강닷컴 공조냉동기능사&산업기사 강의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기사내용에 다 포함됩니다.)
시간이 없을 경우 냉동/공조 과목만 보시고
나머지는 기출만 계속 돌리시면 됩니다.
필기는 정말 할만 합니다…
필기만 보시고 아 쉽네? 하시면 실기 때 피똥싸니깐
최대한 필기 때 잘해두세요 ㅠ..ㅠ
갈수록 필기는 쉬워지는데 실기는 어려워지는.. 합격률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다운로드
이 글 참고하시면 전자문제집 cbt에서 무료로 풀어볼 수 있어요. 다만 해설은 없습니다! 따라서 책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요점정리
공조냉동기계기사 열역학 열역학-1.pdf 2.84MB
이상기체 상태변화 관계식 요약 pdf 이상기체의 상태변화 관계식 요약.pdf 0.06MB
공조냉동기계기사 냉동공학 냉동공학.pdf 1.91MB
반응형
공조냉동기계기사 공기조화 공기조화.pdf 2.63MB
공조냉동기계기사 전기제어공학 전기제어공학.pdf 3.85MB
공조냉동기계기사 배관일반 배관일반.pdf 3.44MB
공조냉동기계기사 배관일반 필기는 이렇게만 보시면 충분히 합격하십니다. 실기는 더욱 대비하기 쉽게 다양한 자료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2022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총정리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목적 : 안전한 포장 관리
촬영범위 : 박스 포장 작업
공조냉동기계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시험 대비 핵심 요약 요점 파일 정리 및 첨부파일
반응형
❑ 냉동 : 인공적으로 주위의 온도보다 낮게 하는 것
❑ 절대압력 = 게이지압력 + 대기압 = 대기압 = 진공압
❑ 동력 : 단위시간당 한 일(kg.m/sec)
– 1KW = 102kg.m/s = 860kcal/h
– 1HP = 76kg.m/s = 641kcal/h
– 1PS = 75kg.m/s = 632kcal/h
❑ 만액식 냉각기 열전달률 향상시키는 방법
– 관이 액냉매과 접촉하거나 잠겨있을 것
– 관경이 작고 관 간격이 좁을 것
– 관면이 거칠거나 핀을 부착할 것
– 평균온도차가 크고 유속이 적당할 것
– 오일이 체류하지 않을 것
❑ 회전식(로터리) 압축기
– 로터의 회전에 의해 가스를 흡입 압축하는 압축기
– 고정익형 :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실린더의 부착
– 회전익형 : 원심력에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
❑ 환기방식
– 제1종 : 급기팬 + 배기팬 (보일러실, 병원수술실 등)
– 제2종 : 급기팬 + 배기구 (반도체무균실, 소규모변전실, 창고 등)
– 제3종 : 흡기구 + 배기팬 (화장실, 조리장, 차고 등)
❑ 공조부하의 구분
– 실내취득부하 . 벽체부하
. 유리창부하
. 틈새부하
. 인체발생부하
. 기구 및 조명부하
– 기기내 취득부하 . 송풍기발생부하
. 덕트로부터의 부하
– 재열부하
– 외기부하
❑ 실리카겔(SiO2) : 소형냉동장치에 많이 사용하는 건조제
❑ 저압식 플로트 밸브 : 만액식 증발기에 사용되는 팽창밸브
❑ 압축비상승 영향 – 압축기 과열
– 토출가스 온도상승
– 윤활유 열화 및 탄화
– 냉동능령감소
– 성적계수감소
❑ 냉매누설시 조치
– 암모니아 : 물로 세척 후 피크린산 용액
– 프레온 누설 시 : 광물유
– 피부 접촉시 : 붕산액으로 세안
❑ 프레온냉매 누설 검지법 – 비눗물
– 헬라이드토오치
– 전자탐지기
❑ 용량제어목적 – 무부하, 경부하 운전
– 용량제어로 경제적 운전
– 일정한 증발온도 유지
– 압축기 보호 및 수명 연장
❑ 암모니아 가스 누설검지법
– 냄새로 알 수 있다
– 적색리트머스 시험지 -> 청색
– 청색페놀프탈레인지 -> 적색
– 유황초, 염산, 황산 -> 백색연기
– 네슬러 시약 -> 황, 자로 바뀜
❑ 배관높이 표시 – FL : 바닥면 기준
– GL : 지면 기준
– TOP : 배관상부 기준
– BOP : 배관하부 기준
❑ 공기조화 4대 요소 – 온도
– 습도
– 기류속도
– 청정도
❑ 수관보일러 : 효율이 가장 좋은 보일러
❑ 연소의 3요소 – 가연물
– 산소
– 점화원(가산점)
❑ 안전관리자 해임후 선임기간 : 30일
❑ 온도식 자동 팽창밸브(TEV) : 감온통을 증발기 출구에 부착하여 과열도
유지
❑ 액관에 설치된 부속기기의 순서
: 수액기 – 드라이어 – 사이트글라스 – 전자밸브 – 팽창밸브
❑ 냉동의 방법
– 자연적인 냉동방법
. 융해잠열을 이용하는 방법
. 증발잠열을 이용하는 방법
. 승화열을 이용하는 방법
– 기계적인 냉동방법
– 증기분사식
– 공기압축식
– 진공식
– 전자냉동법
– 흡수식
❑ 전자냉동법 :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냉동방법으로 전류를 통해 얻어진
고온부는 열의 양도체이기도 하므로 냉각효과를 얻기는 어렵기 때문에
비스무트 텔루르 안티몬, 텔루를 비스무트, 셀렌텔루르 비스무트 등과
같은 열전반도체를 사용하여 실용화하고 있다
❑ 펠티어 효과 : 종류가 다른 금속을 링 모양으로 접속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쪽의 접합은 고온이 되고 다른 한 쪽의 접합점은 저온이 된다
❑ 압축기의 장점
– 소음, 진동이 적다
– 전력수요가 적다
– 운전경비가 절감
– 사고발생 우려가 적다
❑ 압축기의 단점
– 설비비가 많이 든다
– 부속설비가 압축식의 2배 정도로 커진다
– 급랭으로 결정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 예냉시간이 길다
❑ 교축작용 : 유체가 밸브나 기타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큰 곳을 통과하거나
흐름에 대한 흐트러짐을 받게 되면 진행하는 방향으로 압력
이 강하되는 작용
❑ 안전모의 상부와 머리사이 간격 : 25mm
❑ 기준(표준) 냉동 사이클
– 증발온도 : -15℃
– 응축온도 : 30℃
– 압축기 흡입가스 상태 : 건조포화증기
– 팽창밸브 직전온도 : 25℃ (과냉각도 5℃)
❑ 임계점(K) : 기체의 온도를 어느 일정온도 이하로 낮추어 압력을 가하면
액체로 된다. 그러나 어느 일정온도 이상에서는 아무리 압력을 높여도
그 기체는 액화되지 않는데 이러한 온도를 임계온도, 이때의 압력을
임계압력이라 한다
❑ 브라인(Brine)의 구비조건
– 비열이 클 것
– 열전도율이 클 것
– 점도가 작을 것
– 응고점이 낮을 것
– 불연성이면서 독성이 없을 것
– 부식성이 없을 것
– 냉장물품에 누설시 손상이 없을 것
– 가격이 싸고 구입이 용이할 것
– pH가 적당할 것(7.5 ~ 8.2 정도)
❑ 보일러 3대 구성요소 – 보일러 본체
– 연소장치
– 부속품과 부속장치
❑ 나사식 압축기
– 장점
. 체적효율이 크다
. 소형으로 대용량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 10 ~ 100%의 무단계 용량제어가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 단점
. 윤활유 소비가 많다
. 동력이 많이 소요된다
. 운전 유지비가 비싸다
❑ 원심식 압축기
– 장점
. 100RT 정도 이상에서는 왕복동식에 비해 같은 냉동능력일 때 설치면
적이 적어 진다
. 10 ~ 100%까지의 무단계 용량제어가 가능하다
– 단점
. 소용량은 제작이 곤란
. 100RT 이하에서는 가격이 비싸진다
❑ 용량제어의 목적
– 부하변동에 대응한 용량제어로 경제적인 운전
– 경부하 가동으로 가동이 용이
– 고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 압축기를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
❑ 용량제어 방법
– 왕복동 압축기의 용량제어 . 회전수가감법
. 클리어런스 증대법
. 바이패스 법
. 일부 실린더를 놀리는 법(언로드방식)
– 원심 압축기Turbo의 용량제어 . 회전수 가감법
. 흡입 가이드 베인 조절법
. 바이패스 법
. 흡입 댐퍼 조절법
. 냉각수량 조절법
❑ 윤활유(냉동기유)의 구비조건
– 응고점과 유동점이 낮을 것
– 인화점이 높을 것
– 점도가 적당할 것
– 항 유화성이 있을 것
– 산에 대해 안정성이 좋을 것
– 왁스성분이 적을 것
– 냉매와의 분리성이 좋고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것
– 수분 및 산류 등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을 것
– 전기절연 내력이 클 것
– 유막의 강도가 커 마찰부에서 유막이 쉽게 파괴되지 않을 것
❑ 동결 : 냉각작용에 의해 물질을 응고점 이하까지 열을 제거하여 고체
상태로 만드는 것
❑ 응축기의 종류
– 수냉식 . 입형 셸 & 튜브식
. 횡형 셜 & 튜브식
. 2중관식
. 7통로식 : 열통과율이 가장 좋은 응축기
. 셸 & 코일식
. 대기식 : 대기 습구온도 영향을 받는 응축기
. 증발식 – 냉각수가 가장 적은 응축기
– 대기 습구온도 영향을 받는 응축기
– NH3 장치에 주로 사용
– 물의 증발열을 이용
– 공랭식 . 자연 대류형 응축기
. 강제 대류형 응축기
– 냉각탑 (Cooling Tower)
. 냉각톤 : 냉각탑의 냉각능력을 3900㎉/h를 1냉각톤
. 쿨링레인지 (Cooling Range) : 냉각탑 입구수온 – 냉각탑 출구수온
. 쿨링 어프로치 (Cooling Approach) : 냉각탑 출구수온 – 입구공기의
습구온도
❑ 증발기의 종류 및 특성
– 증발기 내부의 냉매 상태에 따른 분류
. 건식 증발기 : 냉매액 25%, 가스 75% (위에서 아래로 공급)
. 반만액식 증발기 : 액 50%, 가스 50% (아래에서 위로 공급)
. 만액식 증발기 : 액 75%, 가스 25% (아래에서 위로 공급)
. 액순환식 증발기(액펌프식)
– 강제 순환식이므로 증발기내에 오일이 코일 염려가 없다
– 소용량에서는 제적으로 효율이 나빠 채택하지 않는다
– 용도에 의한 분류
. 액체 냉각용 – 만액식 셸 엔드 튜브식 증발기
– 건식 셸 엔드 튜브식 증발기
– 셸엔드 코일형 증발기
– 보데러형 증발기
. 공기 냉각용 – 나관 코일식
– 판형
– 케스케이드형
– 멀티피드 멀티석션형
❑ 제상의 영향 – 증발압력 저하
– 냉동능력 감소
– 압축비 감소
– 고내온도 상승
– RT당 소요동력 증가
– 리퀴드백의 우려
❑ 제상 방법
– 압축기 정지제상 : 1일 6 ~ 8시간 정도 냉동기를 정지시키는 제상
– 온수브라인 제상 : 순환중인 차가운 브라인을 주기적으로 따뜻한 브라
인으로 바꾸어 순환시켜 제상
– 브라인 분무 제상 : 냉각관 표면에 부동액 또는 브라인을 살포
– 살수식 제상 : 10 ~ 25℃의 물을 살포하는 방법 고압가스 제상과 병행
– 고압가스 제상
.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증기를 증발기에 유입시켜 응측열에
의해 제상한다
. 제상 시간이 짧고 용이하게 설비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채택하는 방법이다
❑ 부르돈 압력계 : 보일러에 사용되는 압력계로 가장 널리 사용
❑ 전열 : 열의 이동
– 전도 : 고체에서 열이동 Q = λ.F.Δt / ℓ
– 대류 : 유체에서 열이동 Q = α.F. Δt
– 복사 : 복사체에서 열이동 Q = K.F.Δt
❑ 냉매 누설시 헤라이드 토오치의 변색
– 미누설 : 청색
– 소량 : 녹색
– 다량 : 자색
– 과량 : 꺼짐
❑ 압력초과 : 보일러 파열사고 원인 중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것
❑ 동관
– 열전도가 좋아 급유관이나 냉각, 가열관으로 사용
– 고온에서 강도가 떨어진다
– 복사난방의 바닥에 매설하는 배관
❑ 슬루스밸브 : 유체의 저항이 적어서 대형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밸브
❑ 냉각코일 : 공기조화장치 중에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
❑ 비교습도 : 습공기 절대습도와 그와 동일온도의 포화습공기 절대습도와
의 비로 나타내며 단위는 %로 나타내는 것
❑ 상대습도 : 공기를 가열했을 때 감소하는 것
❑ 복사난방
– 매설관 때문에 준공후의 수리나 보존이 매우 번잡하다
– 바닥면에서 예열이 이용되므로 연료 소비량이 적다
– 실내의 벽, 바닥 등을 가열하여 평균복사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
– 주택, 아파트에 적합
❑ 복사난방의 장점
– 방열기가 없으므로 바닥면의 이용도가 높다
– 쾌감도와 온도 분포가 좋아서 천정이 높은 방에서 적합하다
– 실내 평균온도가 낮기 때문에 같은 방열량에 대해서 손실 열량이 적다
– 공기의 대류가 적으므로 바닥면의 먼지가 상승하지 않는다
❑ 복사난방의 단점
– 배관 시공이나 수리가 곤란하고 설비 비용이 비싸다
– 외기 온도의 급변화에 따른 온도 조절이 곤란하다
– 방열면의 뒷면으로부터의 열 손실을 방지하는 구조로 하여야만 한다
❑ 배관 내 유체 표시기호
– S : 수증기
– A : 공기
– W : 물
– O : 기름
– V : 증기
❑ 표준상태에서의 건조공기의 상태
– 비중량 : 1.29 kg/㎥
– 비체적(부피) : 0.83㎥/kg
❑ 연천인율 = 재해발생건수 / 연평균 근로자수 * 1000
❑ 빈도율 = 재해발생건수 / 연평균 근로자수 * 1000000
❑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 / 근로총시간수 * 1000
❑ 루우프형 : 고압에 적당하고 설치장소가 큰 신축이음
❑ 스위블조인트 : 2개 이상의 엘보등의 부속을 사용하고 방열기 등의
사용하는 신축이음
❑ 팽창밸브 용량결정 : 밸브 오리피스의 지름
❑ 냉각 :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열을 제거하는 것
❑ 단일덕트방식
– 어떤 방을 냉난방하는데 필요한 전송풍량을 1개의 주 풍도를 통해서
분배하는 방식
– 기구는 간단하나 덕트 공간이 필요하므로 천장속에 공간이 필요하다
– 각 실의 온도조절이 힘들다
– 덕트가 1계통이므로 시설비가 적게 들고 덕트 스페이스도 적게 차지
– 소음과 진동이 적다
– 에너지가 절약적이다
❑ 이중덕트방식
– 혼합챔버를 설치하여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공급
– 중앙식 공조방식으로 운전 보수관리가 용이
– 실내부하에 따라 각실 제어나 존별 제어가 가능
– 열매가 공기이므로 실온의 응답이 아주 빠르다
– 장점
. 개별 조절이 가능하다
. 냉/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계절마다 냉/난방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다
. 냉/온수관이나 전기 배선을 실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운전 보수가 용이
. 중간기나 겨울철에도 외기에 의한 냉방이 용이
. 칸막이나 공사비의 증감에 따라서 계획을 임의로 바꿀 수 있다
– 단점
. 설비비와 운전비가 많이 든다
. 풍도가 이중이므로 차지하는 면적이 넓다
. 습도의 완전 조절이 힘들고 혼합 상자가 매우 비싸다
.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크다
❑ 멀티존 유닛방식
– 냉풍과 온풍을 만들고 각 지역별로 이들을 혼합 공기로 한 후 각각의
풍도에 보내는 방식
– 하나의 유닛만으로 여러 개의 지역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이나
조절장치를 한곳에 집중 시킬 수 있으나 덕트 스페이스가 커진다
– 다른 공기 조화 방식에 비해 냉동 부하가 커진다
❑ 덕트의 소음방지
– 덕트의 도중에 흡음재를 부착
– 송풍기 출구 부근에 플리넘 챔버를 장치
– 덕트의 적당한 장소에 소음을 위한 흡음 장치를 설치
– 댐퍼 취출구에 흡음재를 부착
– 댐퍼와 분출구에 코르크판을 부착
– 덕트의 접속에 시임대신 다이어먼드 브레이크를 만든다
❑ 엘리미네이터의 설치목적
– 수분의 비산을 방지하여 물사용을 절약
– 수분이 대기중에 방출하는 것을 막아주는 장치
❑ 덕트확대각도 : 20° 이하
– 축소시 : 45° 이내
❑ 독성가스 냉매 사용시 방류둑 설치기준 : 10,000ℓ 이상
❑ 난방효율이 높은 난방방식 : 열펌프난방
❑ 플레어 접합 : 동관접합중 동관의 끝을 넓혀 압축이음쇠로 접합하는
접합방법
❑ 호스의 색깔
– 산소 : 녹색
– 아세틸렌 : 적색
❑ 절대압력 : 완전 진공상태를 0으로 기준하여 측정한 압력
❑ 오일 해머 현상 :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오일 포밍 현상이 급격히 일어나
면 피스톤 상부로 다량의 오일이 올라가 오일을 압축하게 되는데 이 때
이상음을 발생하게 되는 현상
❑ 암면 : 안산암, 현무암 등에 석회석을 섞어 용해하여 만든 무기질 단열
재로서 400℃ 이하의 파이프, 덕트, 탱크 등의 보온재로 사용
❑ 펑커루버형 : 취출 기류의 방향조정이 가능하고 댐퍼가 있어 풍량조절이
가능하나 공기저항이 크며 공장, 주방 등의 국소 냉방에 적합
❑ 증기 분무 : 가습효율이 가장 좋은 방법
❑ 아세틸렌 발생기 종류 – 주수식
– 투입식
– 침지식
❑ 현열(감열) : 물질의 온도변화에만 필요한 열
❑ 잠열(숨은열) : 물질의 상태변화에만 필요한 열
– 물의 응고잠열 = 79.68 kcal/kg
– 물의 증발잠열 = 539 kcal/kg
❑ 엔탈피(h,I:kcal/h)
– 어떤 물질 1kg이 가지고 있는 열량
– 기체 또는 액체가 갖는 단위중량당 열에너지
– h = u + Apv (내부에너지+외부에너지)
– 모든 냉매 0℃ 포화액의 엔탈피 = 100kcal/kg
❑ 고압측 액관에 설치한 여과기의 메쉬 : 80 ~ 100 mesh
❑ 팁 크리너 : 용접팁의 청소
❑ 열용량 = 물질의 무게 * 비열
❑ 흡수식 냉동기
– 가열원이 필요하며 압축기가 필요 없는 냉동기
– 전력 사용량이 적다
– 용량제어 범위가 넓다
– 여름철에도 보일러 운전이 필요하다
– 소음, 진동이 적다
– 압축기 대신 : 흡수기, 발생기(재생기) 사용
– 열교환기 : 흡수기와 발생기 사이 설치하여 효율증대
❑ 포화도 : 습공기의 절대습도와 그 와 동일온도의 포화습공기의
절대습도의 비
❑ 스트레이너 : 기기전에 설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기
❑ 강관의 신축이음 : 30m 마다 설치
동관 : 20m 마다 설치
❑ 안전두 스프링 : 냉동기의 토출압력이 이상 상승시 제일 먼저 작동되는
안전장치
❑ 공조설비의 구성
– 열원장치 : 보일러, 냉동기
– 공지조화기 : 에어필터, 냉각코일, 가열코일, 가습기
– 열운반장치 : 송풍기, 펌프, 배관, 덕트
– 자동제어장치 : 온도, 습도조절기
❑ 공조방식
– 중앙식
. 수-공기방식 – 팬코일 유닛방식(덕트병용)
– 유인유닛방식
: 사무실, 호텔, 병원 등의 고층 건물에 적합
– 복사 냉난방 방식
. 전수방식 – 팬코일유닛방식
* 이외는 전공식 방식
– 개별식 . 패케이지방식 : 일반적으로 냉동기를 내장하고 있는 공기
조화기를 실내에 직접 설치하는 공기조화방식
. 룸에어콘
. 룸쿨러방식
. 멀티유닛
❑ 증기가습 : 가습효율이 가장 좋은 것
❑ 유기질 보온재 – 펠트
– 텍스류
– 콜크
– 기포성수지
❑ 필터의 여과효율 측정 – 중량법
– 변색도법
– 계수법 (DOP법)
❑ 글로우브 밸브 : 비교적 점도가 큰 유체 또는 약간의 저항에도 정출하는
유체의 흐름에 사용
❑ 플랜지 : 관의 직경이 크거나 기계적 강도가 문제될 때 유니온 대용으로
결합하여 쓸 수 있는 것
❑ 스위블형 이음 :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신축이음
❑ 감압밸브 : 증기의 유량제어에 적합한 밸브
❑ 스플릿댐퍼 : 덕트 내를 흐르는 풍량을 조절 또는 폐쇄하기 위해 쓰이는
댐퍼로서 특히 분기되는 곳에 설치하는 풍량 조절 댐퍼
❑ 온수난방 설비에서 고온수식과 저온수식의 기준온도 : 100℃
❑ 취출구(디퓨져)
– 천정에 설치하여 공기를 내 보내는 것
– 조화 공기를 충분히 혼합하고, 적당한 기류를 발생시켜 대상 장소에
도달 하도록 하는 장치
❑ 저속덕트 : 15 m/s 이하
고속덕트 : 15 m/s 이상
❑ 공조용 덕트 일반적인 재료 : 아연도금강판(철판)
❑ 실내온도 측정용 서모스탯 설치 : 바닥에서 1.5m 정도
❑ 냉매 중 독성이 큰 순서
– SO2 > NH3 > CH3Cl > CO2 > CCl2F2
❑ 유분리기 설치위치 :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
❑ 역지 밸브 : 액순환식 증발기와 액펌프 사이 설치
❑ 단락 : 2개 이상의 전선이 서로 접촉되어 폭음과 함께 녹아 버리는 현상
❑ 프레온 12 : 장치의 저온측에서 윤활유와 가장 잘 용해 되는 냉매
❑ 부우스터 압축기 : 2단 압축냉동에서 저압 압축기를 말함
❑ 와이 : 강관용 이음쇠중 관을 도중에서 분기할 때 사용하는 이음쇠
❑ 오옴의 법칙 :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도체의 양단의 전압에 비례하고
도체의 저항에 반비례
❑ 공기분포장치 : 실내 공기의 흐름이나 온습도의 분포 상태가 균일
하도록 하는 장치
❑ 시퀸스 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어
– 논리회로가 조합 사용
– 기계적 계전기접점이 사용
– 시간 지연요소가 사용
– 자동 전기밥솥, 전기세탁기, 네온싸인 등
❑ 흡입구 :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기 취입구에 의해 취입 된 외기와
함께 공기 기기로 내보내는 장치
❑ 댐퍼 : 덕트 내의 통과 풍량의 조절 또는 폐쇄에 쓰이는 기구
❑ 싸이크론 집진기 : 연도나 굴뚝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선회력을 부여
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연소가스 중에 있던 입자를 제거하는 집진기
❑ 차광 안경의 렌즈 색 : 자색
❑ 보일러의 수압시험 목적
– 균열의 유무를 조사
– 보일러의 변형을 조사
– 이음매의 공작이 잘 되고 못됨을 조사
❑ 터어보 압축기 : 부하가 감소되면 써어징 현상이 일어나는 압축기
❑ 압축기의 축봉장치 : 냉매 및 윤활유의 누설, 외기의 침입 등을 막는다
❑ 플러그 : 관끝을 막을 때 사용하는 부속
❑ 냉동톤(RT)
– 0℃물 1ton을 0℃ 얼음으로 만드는데 제거해야 할 열
– 1한국냉동톤(1RT) : 3,320 kcal/h
– 1미국냉동톤(1USRT) : 3,024 kcal/h
– 1제빙톤 = 1.65RT = 79,680 kcal/h
❑ 방연 댐퍼 : 공기조화용 덕트 부속기기에서 실내에 설치된 연기감지기로
화재의 초기에 발생된 연기를 탐지하여 덕트를 폐쇄시키므로 다른 구역
으로 연기의 침투를 방지해주는 부속기기
❑ 비열(kcal/kg℃) : 어떤 물질 1kg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흑강관에 아연도금한 이유 : 부식방식를 위해
❑ 장갑을 착용하는 작업 : 용접
❑ 장갑을 착용하면 안되는 작업 : 해머
❑ 접지공사의 목적 – 화재방지
– 감전방지
– 기기손상방지
❑ 기체의 용해도 : 저온, 고압일수록 용해도가 커진다
❑ 냉동장치
– 냉매설비 기밀시험 : 설계압력 이상
– 냉동장치 설치 후 시험 : 누설시험
– 누설시험에 사용하는 가스 : 질소
❑ 체크 밸브(역지변)
– 배관 내의 유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며
– 역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밸브
– 스윙형 : 수직, 수평배관에 사용
– 리프트형 : 수평배관에만 사용
– 풋형 : 펌프 흡입관에서 여과기와 역지변을 조합
❑ 팬형 취출구 : 공기조화용 취출구 종류에서 원형 또는 원주형 팬을 달아
여기에 토출기류를 부딪치게하여 천장면에 따라서 수평판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고 유인비 및 소음 발생이 적은 취출구
❑ 감압밸브 : 증기의 압력제어에 적합한 밸브
❑ 평균복사온도
– 복사난방의 설계에 사용하는 온도
– 방을 구성하는 각 벽체의 표면온도를 평균하여 복사난방에서의 쾌감
기준으로 삼는 온도
❑ 증발과정 : 표준 냉동 사이클을 모리엘 선도상에 나타내었을 때 온도와
압력이 변하지 않는 과정
❑ 콕 : 유로를 급속히 여닫이 할 때 쓰이는 밸브
❑ 부싱 : 강관용 연결 부속 자재로서 한쪽이 암나사, 다른 한쪽이 숫나사
로 되어 있으며 직경이 다른 소켓과 같이 관경을 달리할 때 쓰이는 것
❑ 플리커회로 :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일정한 입력신호를 단속신호로
변환하는 회로
❑ 온풍난방
– 열 매체의 열용량이 가장 작으며 실내온도 분포다가 나쁜 방식
– 대공간인 공장 등에 적합
❑ 침지식 동결장치 : 피동결물을 냉각한 부동액에 넣어서 동결 시키는
방법
❑ 실내 적정온도
– 냉방시 : 26 ~ 28℃ 정도
– 난방시 : 18 ~ 22℃ 정도
❑ 덕트의 재료
– 덕트의 일반재료 : 아연도금철판, 아연도금강판(함석)
– 고온의 가스나 공기가 통과하는 연도 ; 열연강판
– 화학실험실의 재료 : 경질염화비닐
❑ 덕트마찰 손실선도 – 마찰손실
– 풍량
– 덕트지름
– 속도
❑ 덕트의 설계 및 시공시 주의사항
– 덕트의 아스펙트비(종횡비) : 4 이내
– 덕트의 곡률반경 : 1.5 ~ 2배
– 덕트의 확대 : 15° ~ 20° 이하
– 덕트의 축소 : 30° ~ 45° 이내
– 가이드베인의 설치 . 곡률반경이 1.5 이하
. 확대 및 축소시 : 상기 각도 이상시
❑ 보일러의 특징
– 노통보일러
. 본체 내부에 노통(연소실)을 설치하여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
. 노통이 1개인 코르니쉬보일러와 노통이 2개인 랭커셔보일러가 있다
– 연관보일러 : 본체 내부에 연관을 통해 연소가스가 통과하여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
– 노통연관보일러
. 노통보일러와 연관보일러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 횡형의 동체내에
노통의 연소실과 다수의 연관으로 구성
. 열효율이 좋아 중규모 건물등에 많이 사용
– 수관보일러
. 상하부의 드럼에 고압에 잘 견디는 다수의 수관을 연결한 것
. 고압대용량으로 전열면적이 크다
. 효율이 가장 좋다
. 증기발생이 매우 빨라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
– 주철제 보일러
. 최고사용 압력이 1kg/㎠ 이하로 저압용
. 내식성이 우수
. 섹숀의 증감으로 용량조절이 용이
❑ 헌열 및 잠열부하를 고려해야 할 부하 – 극간풍부하
– 인체부하
– 실내기구부하
– 외기부하
❑ 캐비테이션(공동) 현상
– 원인 : 펌프입구의 마찰저항 증가 및 수온 상승
– 방지대책
. 흡입측의 손실수두를 작게 한다
. 펌프의 설치위치를 낮춘다
. 펌프 회전수를 낮춘다
. 양흡입 펌프를 사용
. 흡입관경을 크게 하거나 배관을 짧게 한다
❑ 저위발열량 = 고위발열량 – 수분의 증발잠열
❑ 공기의 상태
– 건구온도(DB,t,℃):보통 온도계로 측정
– 습구온도(WB,t’,℃):헝겊에 물을 적셔 측정
– 노점온도(DP):이슬이 맺히는 온도(상대습도100%)
– 절대습도(x,kg/kg’) x = 0.622 x (Pw/P-Pw)
. 건조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 중량
. 수증기 중량/건조공기의 중량
– 상대습도(Ψ,RH) ¢=rw/ra
. 포화증기의 수증기분압/습공기수증기분압
❑ 냉매의 구비조건
– 물리적 조건
. 증발 압력이 낮아 진공으로 되지 않을 것
. 응축 압력이 너무 높지 않을 것
. 증발 잠열 및 증기의 비열은 크고, 액체의 비열은 작을 것
. 임계 온도가 높고, 응고 온도가 낮을 것
. 증기의 비체적이 적을 것
. 누설이 어렵고, 누설 시는 탐지가 쉬울 것
– 화학적 조건
. 안전하며, 변질하지 않을 것
. 부식성이 없을 것
. 전기 저항이 크고, 열 전도율이 높을 것
. 점성 및 유동 저항이 적을 것
. 윤활유에 녹지 않을 것
. 무해/무독으로 인화, 폭발의 위험이 적을 것
❑ 냉매의 종류와 특성
– 암모니아(NH₃)
. 널리 사용되는 냉매로서 식품의 냉동 제빙 등에 사용
. 비교적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나 특성에 있어서 인체에 유해하므
로 공기 조화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응고점(-71℃)이 비교적 높다
. 극저온을 요하는 냉매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 R-11(CFCI₃)
. 냉매 가스의 중량이 무거우므로 터보 냉동기의 냉매로서 사용
. -70℃ 이하의 저온에서는 브라인으로도 사용
– R-12(CF₂CI₂)
. 응고 온도가 -155℃로 매우 낮다
. 동일온도에 대한 포화압력이 암모니아에 비해 낮으므로 냉동장치의
각 구조가 제작상 비교적 용이
. 광범위한 온도범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 R-12는 사염화탄소와 같은 정도의 소화능력이 있다
. 프레온계 냉매 중에서 가장 안전
– R-13(CF₃CI)
. 빙점(-181℃)과 비점(-81.5℃)이 매우 낮다
. 포화압력이 높기 때문에 R22와 조합하여 2원 냉동방식으로
-80℃~-120℃의 최저온 냉각을 할 경우 저단압축기에 사용
. 초저온 냉매
– R-14(CF₄)
. R-13으로도 얻을 수 없는 -100℃ 이하의 낮은 온도에 적당
. 임계온도가 -45.5℃이므로 단지 극저온용으로 국한
– R-21(CHFCI₂)
. 포화압력은 R-12의 중간정도
. R-12로는 비교적 높은 압력범위에 적용하면 효과적
– R-22(CHF₂CI)
. 프레온계 냉매 중에는 열역학적 성질이 암모니아와 가장 비슷한
냉매
. 온도와 포화압력과의 관계는 서로 비슷하지만 R-22가 암모니아보다
도 더 완만한 온도구배를 가지므로 압축비를 작게 할 수 있다
. 암모니아로는 도달할 수 없는 -80℃의 저온도를 얻을 수 있다
– R-113(C₂F₃CI₃)
. 터보 냉동기의 저압 냉매로서 소형 터보 냉동기에 적합
– R-114(C₂F₄CI₂)
. 압력은 R-11과 R-12의 중간으로 R-21보다 약간 높은 압력범위에서
사용
❑ 열펌프난방 : 난방효율이 높은 난방방식
❑ 감온통의 부착위치
– 흡입관 20mm (7/8″) 이하 : 증발관 상부
– 흡입관 20mm (7/8″) 이상 : 증발관 45˚하부
❑ 밸브 등의 조작장소의 조도 : 150 Lux
❑ 덕트설계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 : 공기의 엔탈피
❑ 1BTU : 대기압하에서 1lb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영,미,프)
* 1BTU = 0.252 kcal = 252cal
❑ 온도 : 물질의 차고 더운 정도 및 분자운동에너지의 세기
– 섭씨온도℃ = 5/9 (℉-32)
– 화씨온도℉ = 9/5℃ + 32
– 캘빈온도’K = ℃ + 273
– 랭킨온도’R = ℉ + 460
❑ 임계온도와 임계압력
구 분 임계온도 (C) 임계압력 (atm) 공기 -141 37.2 암모니아 133 112.3 R-22 96 50.3 R-12 111.5 40.9 물 374.15 225.65
❑ 신축이음의 종류와 허용길이가 큰 순서
– 루우프형 > 슬리브형 > 벨로우즈형 > 스위블형
– 루우프형 : 옥외 고압용으로 곡률반경은 관경의 6배
– 베로우즈형 : 설치장소가 적고 누설이 없다
– 스위블형 :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며 발열기용
❑ 패킹 : 유체의 누설방지
– 나사용 패킹 : 페인트, 일산화연, 액상 합성수지
– 플랜지 패킹 : 고무패킹, 석면패킹, 금속패킹 등
❑ 카스캐이드식 증발기 : 일반적으로 벽코일 동결실의 선반으로 많이 사용
❑ 냉동용 압축기의 안전헤드 : 액체 흡입으로 압축기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
❑ 가스 배관 재료의 구비조건
– 관내의 유통이 원활할 것
– 접합이 쉽고, 유체의 누설이 충분히 방지될 것
– 절단 가공에 용이
– 가벼울 것
❑ 플럭스 코어드 용접작업 : 귀마개를 착용하고 작업을 해야 하는
용접작업
❑ 빅토릭 접합 : 파이프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고무링은 더욱더 파이프
벽에 밀착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접합 방법
❑ 패러데이의 법칙 : 전기량이 일정할 때 석출되는 물질의 양은 화학당량
에 비례한다는 법칙
❑ 냉수코일의 풍속 : 2 ~ 3 m/s
❑ 판넬식 : 중앙 계기실에서 온수 또는 냉수를 파이프로 보내어 겨울에는
복사난방, 여름에는 복사냉방을 행하는 공기 조화 방식
❑ 증기난방
– 증기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방식
– 증기의 순환이 빠르고 관경이 가늘어도 된다
– 온수난방에 비하여 방열면적이 작아도 된다
❑ 스플릿트 댐퍼 : 분지부분에 설치, 분지덕트내의 풍량조정용으로 적당
❑ 송풍기 상사법칙 : 풍량은 날개직경 변화의 3승에 비례
❑ 활성탄 필터 : 공기 중의 냄새나 유해가스의 제거에 유효하게 사용되는
필터
❑ 가스용기 취급시 주의사항
–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밸브를 잠근다
– 용기에 새겨있는 각인을 말소하지 않는다
– 용기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한다
❑ 연삭작업 시 숫돌차의 주면과 받침대와의 간격 : 3mm 이내
❑ 여과기(스트레이너)
– 제어밸브, 트랩, 펌프 등의 앞에 설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밸브
– 종류 : Y형, U형, V형
❑ 가스 누설시 적절한 조치 순서
– 용기 밸브를 잠근다
– 중간 밸브를 잠근다
– 창문을 열어 통풍시킨다
– 판매점에 연락한다
❑ 헤링본 증발기 : 제빙용으로 브라인의 냉각에 적당한 증발기
❑ 유압 압력 조정 밸브 : 냉동장치의 오일 펌프 출구 부분에 설치
❑ 앵글 밸브 : 유체의 흐름방향이 90°로 되어 있어 유량조절 및 방향을
전환 시켜주며 주로 방열기 밸브로 사용
❑ 보온재의 구비조건
– 열전도율이 작을 것
– 내열성 및 내구성이 있을 것
– 비중이 작아야 한다
– 불연성이고 내흡습성이 클 것
– 다공질이며 기공이 균일해야 한다
❑ 공기조화 설비의 구성
– 열원장치 : 냉동기, 보일러, 냉각탑 등
– 공기조화기 : 공기 여과기, 공기냉각기(제습기), 공기가열기,
공기세정기(가습기)
– 열운반장치 : 송풍기, 덕트, 펌프, 배관 등
– 자동제어장치 : 온도, 습도제어장치
❑ 틈새바람(극간풍)을 줄이기 위한 방법
– 출입구에 회전문을 설치
– 2중문을 설치(내측문은 수동식)
– 2중문의 중간에 컨벡터를 설치
– 에어커덴을 설치
❑ 유효온도(감각온도, ET) : 온도, 습도, 기류속도에 의한 체감온도
(0m/s, 100%)
❑ 수정유효온도(CET) : 유효온도에 복사열을 고려한 체감온도
❑ 바이패스 팩터가 커지는 이유
– 코일의 열수가 감소할 때
– 콘텍트 팩터가 감소할 때
– 코일튜브 간격이 증가할 때
– 코일 표면적(전열면적)이 감소할 때
– 송풍량이 증가할 때
– 냉온수 순환량이 감소할 때
❑ 공비혼합냉매
– R-500 : R-12 + R-152
– R-501 : R-12 + R-22
– R-502 : R-22 + R-115
– R-503 : R-13 + R-23
❑ 바이패스방치 : 기기의 고장과 일시적인 응급사항에 대비
❑ 압축기 흡입 및 토출밸브의 구비조건
– 밸브의 작동이 경쾌하고 동작이 확실할 것
– 냉매가스 통과시 마찰저항이 적을 것
– 밸브가 닫혔을 때 누설이 없을 것
– 내구성이 크고 변형이 적을 것
❑ 윤활유의 역할
– 윤활작용
– 기밀작용
– 냉각작용
– 패킹보호 등
❑ 유압의 상승원인
– 유압조정밸브 개도 과소
– 유온이 너무 낮을 때(점도과대)
– 오일의 과충전
– 유순환계통(여과기)의 막힘
❑ 냉동기유의 사용
– 입형 저속압축기 : 300번
– 고속 다기통 압축기 : 150번
– 초저온 냉동기 : 90번
❑ 냉동효과 = (1 – 건조도) * 증발잠열
❑ 안전장치
– 안전밸브 = 정상고압 + 5kg/㎠
– 고압차단스위치 = 정상고압 + 4kg/㎠
– 안전두 = 정상고압 + 3kg/㎠
– 유압보호스위치(OPS) : 유압이 일정이하시 작동
– 증발압력조정변(EPR) : 증발압력 일정이하시 작동
– 흡입압력조정변(SPR) : 응축압력 일정이상시 작동
❑ 탱크형 냉각기 : 제빙용 냉동 장치의 증발기로서 가장 적합
❑ 증기압축식 : 압축 → 응축 → 팽창 → 증발
❑ 냉매 부족시
– 고압 및 저압 저하
– 흡입가스 과열
❑ 콜드 드레프트의 원인
– 인체 주위의 공기온도가 너무 낮을 때
– 기류 속도가 너무 빠를 때
– 습도가 낮을 때
– 벽면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 극간풍이 많을 때
❑ 안전모의 무게 : 450g 이상을 초과하면 안 된다
❑ 분말 소화기 : 유류가 인화했을 때 가장 적합한 소화기
❑ 펠트
– 곡면 부분의 단열에 편리
– 양털, 쇠털을 가공하여 만든 단열재
❑ 오버랩 때문에 생기는 용접결함
– 용접전류가 너무 낮을 때
– 운봉 및 봉의 유지각도 불량
– 용접봉 선택 불량
❑ 열간벤딩시 가열온도
– 강관벤딩시 : 800 ~ 900℃ 정도
– 동관벤딩시 : 600 ~ 700℃ 정도
❑ 보온재의 구분
– 유기질 보온재 : 펠트, 코르크, 텍스류, 기포성 수지(폼류)
– 무기질 보온재
. 펄라이트 : 안전사용온도 650℃
. 석면 : 안전사용온도 300 ~ 550℃
. 유리섬유 : 안전사용온도 300℃
. 탄산마그네슘 : 안전사용온도 250℃
. 규조토 : 진동이 있는 곳에 사용이 어려움
. 암면, 규산칼슘, 폼그라스(발포초자),실리카화이버,세라믹화이버 등
– 금속질 보온재 : 알루미늄박
❑ 복사 냉난방 방식
– 중앙 기계실에서 냉/온수를 바닥이나 벽 패널의 파이프로 통과시키고
천장을 통해 공기를 동시에 송풍하여 냉난방하는 방식
– 시설비가 비싸고 냉방시에는 바닥에 결로우려가 있다
❑ 팬코일유닛 방식
– 필터, 냉온수코일, 송풍기가 내장된 팬코일유닛에 중앙기계실로부터
냉온수를 공급하여 실내 부하를 처리하는 방식
– 개별제어가 가능
❑ 각층 유닛방식
– 다층의 건물에서 단일덕트를 변형한것으로 층마다 공기를 분산 배치
하여 관리가 불편하나 부분운전이 가능
– 임대사무소에 적합
❑ 유인유닛(인덕션) 방식
– 중앙에 설치된 공조기에서 1차공기를 고속으로 유인유닛에 보내 유닛
의 노즐에서 불어내고 그 압력으로 실내의 2차공기를 유인하여 송풍
하는 방식
– 개별제어가 가능
– 덕트스페이스가 적으나 유닛에서 소음이 발생
❑ 열매체에 따른 각 공조방식의 특징
– 전공기 방식 : 냉/온풍에 의해 부하를 처리
– 전수방시 : 냉/온수에 의해 부하를 처리
– 공기-수 방식 : 공기와 물에 의해 부하를 처리
– 냉매방식 : 냉동기를 내장한 패키지 유닛에 의해 냉방부하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개별제어 및 증설이 용이
공조냉동기계 기능사 필기 요약정리.pdf 0.16MB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다음은 Bing에서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 공조냉동기계기사진로
- 기계공학과자격증
- 공조냉동
- 공조
- 공조냉동설계
- 자격증
- 기사자격증
- 냉동사이클
- 열역학
- 기계열역학
- 냉동기
- 배관
- 냉동
- 공조냉동취업
- 공조취업
- 기출문제
- 기사
- 필기
- 필기기출
- 필기기출문제
- 공조냉동기계기사필기
- 공조냉동기사
- 공조냉동기사필기
- 올배움
- 인강
- 인터넷강의
- 강의
- 필기인강
YouTube에서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올배움kisa]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2022년 1회 기출문제 풀이 임종현 교수님의 합격대비 강의 | 공조 냉동 기계 기사 필기 정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